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COVID-19로 인한 디지털 대전환은 소비자들의 삶의 양식을 변화시킴으로써 소비패턴 역시 달라지게 하였다. 변화된 환경 속에서 라이브커머스의 등장은 단순한 인터넷 쇼핑을 넘어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인식되고 있으며, 미디어 시장에서 유망한 수익 모델의 하나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TV홈쇼핑 산업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라이브커머스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인식을 비교・검토하는 델파이(Delphi)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라이브커머스를 통신서비스가 아닌 방송서비스로서 인식하고 있으며, 즉각성, 친밀성, 즐거움, 소통 만족도 측면에서 TV홈쇼핑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정책과 규제 측면에서는 라이브커머스가 적절한 정부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중에서도 허위광고나 과장광고에 대한 규제 요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략적 차원에서 상호 보완적 협쟁(協爭, co-opetiton) 개념의 의의와 필요성을 확인해 주고 있으며, TV홈쇼핑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하고 이용자 후생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TV홈쇼핑이 확립한 머천다이징 역할 및 전문화된 판매 제품군 등의 장점과 라이브커머스의 높은 자율성을 상호 결합하여 시너지를 창출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How do OTT users understand binge-watching? : deep understandi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Korea Hye Soo Kim, Bo Mi Lee, Sun Hee Choi p. 7-47

재난 이슈에 관한 프레임 현저성(salience) 변화와 상호관계성 = Frame salience changes and interrelationships on disaster issues : an analysis of time & space, attributes, and responsibility frames in news of the Sewol ferry sinking : 세월호 침몰사고 뉴스에 나타난 시공간, 속성, 그리고 책임 주체 프레임 분석 이완수, 배재영 p. 49-104

보수·진보 정치권의 ‘이대남’ 정치화에 대한 언론의 보도 프레임 분석 = Analysis of the media's framing of the "men in their 20s" issue in conservative and liberal politics 오다슬, 유홍식 p. 105-154

지상파방송 기자들의 탐사보도 통제요인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ground-wave broadcasting journalists' perception of control factors on investigative journalism : analysis of media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factors according to hierarchy of influence model : 영향력 위계모형에 따른 미디어 내・외부 통제요인을 중심으로 양만희, 이민규 p. 155-205

어조가 메시지 전달력과 관계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one on message communicability and relationship framing 최지원 p. 207-236

모바일 플랫폼 시대 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분석 = A delphi analysis on E-commerce services in the era of mobile platforms : focusing on TV home-shopping network's strategic use of online live-streaming commerce services : TV홈쇼핑 사업자의 라이브커머스 활용을 중심으로 김선미, 최선희, 김정현 p. 237-277

지역 방송 뉴스에 나타난 “특종 속성” 연구 = A study of scoop attributes in local broadcast news : focusing on the <Winners of the Broadcaster of the Month Awards> for local general reporting : <이달의 방송기자상> 지역 취재보도 부문 수상작을 중심으로 강연곤, 이민규 p. 279-336

인스타그램 이용이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 The negative impact of Instagram use on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an examination of multiple mediation model of upward social comparison, self-esteem, and depression : 상향적 사회 비교, 자존감, 우울감의 다중매개모형 검증 송인덕 p. 337-372

효용적 가치와 지각된 위험이 생성형 AI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tilitarian value and perceived risk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generative AI : focusing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김헌, 빠오탄탄 p. 373-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