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업재활시설에 종사하는 장애인근로자의 직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직무훈련도구 Job activity를 활용한 직무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직업재활시설에 종사하는 근로장애인과 훈련장애인, 총 30명에게 직무훈련도구를 활용한 직무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수행결과에 대한 전후 비교를 통해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훈련을 실시한 결과, 손기능을 주로 요구하는 타공판 조립, 연필 포장과 클립 포장 과제에서 직무 수행도에 유의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과제이해도는 7개 과제활동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작업태도 측면에서는 작업역할 수용, 도움 요청 능력, 작업 지속성, 작업내성, 작업집중력, 팀웤, 사회화 기능,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 과제준비, 작업동기, 작업적합성 등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효과성이 검증된 직무훈련프로그램은 직업재활시설에 종사하는 장애인근로자와 훈련생의 직무능력 향상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 = Employment of disabled workers : test of a model of planned behavior : 계획적 행동 모형의 검증 김정식, 정구혁, 송유진 p. 5-32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인식한 친구·직업 유무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 The impact of perceived presence of friends and employmen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self-concept : a multigroup analysi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의 다집단 분석 허경화, 백은령 p. 33-66

청각장애인의 행복과 행복성장이 자존감, 사회활동 참여,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happiness and happiness growth on self-esteem,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hysical health in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최희철, 강혜진, 김영미 p. 67-91

연극·뮤지컬 분야 직업예술인으로서 발달장애인의 필요 직무역량 연구 = Necessary job competenc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professional artists in theater and musical fields 정은주, 문채영 p. 93-116

장애학생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및 관련 전문가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teachers and experts in school-based in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나은경, 이영선 p. 117-147

직무훈련도구 Job activity를 활용한 직무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using ‘job activity’ as job training tool 구인순, 김미정, 장완호, 김선형 p. 149-166

가족의 지지와 정신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 = Family support and labor force participation amo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s of self-evalua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 근로 능력 자기평가와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정애 p. 167-193

경계선지능인 지원 조례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n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upport ordinances 민기채 p. 195-229

장애인 슐런 선수의 직업 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 A study on the ethnography of the occupational life of Sjoelen players with disabilities 강수완, 곽승철 p. 231-265

전라북도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 미설치 지역의 진로·직업교육 지원 방안 탐색 = Study for ways to suppor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areas without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Jeollabuk-do 노나미, 임경원 p. 267-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