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일선 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교육과 블렌디드 러닝 등 기존 대면수업 방식에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온라인 교육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에서 자유롭다는 점 등 여러 장점이 존재한다. 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교육 방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수자들의 이용 의도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학교 차원의 인지된 조직지원과 온라인이라는 특화된 환경에서 발생하는 인지된 위험이 이용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중·고등학교 및 대학의 교수자 331명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조직지원은 인지된 용이성 및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하여 온라인 교육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안 우려 등 온라인 교육의 인지된 위험은 온라인 교육에 대한 태도를 매개하여 온라인 교육 사용 의도에 부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관련한 논의와 교수자들의 온라인 교육 이용 의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편적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도출 및 타당화 = Deduction and validation of universal artificial intellig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AI-bas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장윤재, 윤일규, 김한성 p. 477-488

국제 바칼로레아 초등교육 프로그램 기반 인공지능 교육이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ased o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on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김봄솔, 고은정, 문우종, 김종훈 p. 489-499

초등학생 대상 2D와 3D기반 프로그래밍 학습 효과 분석 = An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of 2D and 3D based programm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백승인, 이용배 p. 501-509

예비 교원의 원격 수업 역량 요인 탐색 및 요구도 분석 = Distance instruction competency factors and needs analysis to strengthen competency of prospective teachers 이영호, 박판우 p. 511-519

프라이버시 염려가 SNS 계정의 제한된 공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ivacy concerns on restricted disclosure of SNS : digital literacy as a moderator :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은성, 이세영, 금희조 p. 521-530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분석 및 개선 방안 = Analysis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formation subject teaching expertise 이재호, 전상일 p. 531-541

마을 데이터 활용 기반의 언플러그드 활동을 통한 Living Lab 프로젝트의 효과성 검증 =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living lab project through unplugged activities based on community data utilization 손정명, 김태영 p. 543-553

초등학생 대상 데이터 과학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개발 =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data sc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computational thinking-based problem-solving activities : 컴퓨팅 사고력 기반 문제 해결 활동을 중심으로 김유나, 신승기, 김갑수 p. 555-565

기술수용모델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 이용 의도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online learning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최진선, 김용우 p. 567-577

디지털 약자를 위한 인공지능 보드게임 수업의 설계 및 적용 = Design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board game classes for the digital weak 김소희, 이용배 p. 579-589

학습 상담사 훈련을 위한 챗봇 기반 시뮬레이션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chatbot-based simulation tool for training educational counselor 심재권, 신예진, 이하연, 이민주, 권대용 p. 591-599

생성 인공지능 활용 교육 프로그램이 영재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 generative AI utiliza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gifted students 한규정, 김진관 p. 601-609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창의성 증진 교육 방안 탐색 = Exploring educational strategies for enhancing creativity based o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이준, 정영식, 서순식 p. 611-623

chatGPT를 활용한 초등 연극 단원의 인공지능 융합 수업 개발 = Development of AI convergence lesson for elementary theater unit with chatGPT 황윤성, 정인기 p. 625-634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교육이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rompt engineering education on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 AI 신주은, 박판우, 배영권 p. 635-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