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브랜드 관점으로 지방자치단체 이모티콘 유형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moticon’s type for local government from viewpoint of local brand
이윤정
p. 8-19
서비스 디자인을 통한 혁신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innovation through service design : focusing on the digital service sector in the UK : 영국의 디지털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정지연
p. 22-32
사실적인 디지털 휴먼 디자인을 위한 표정 정합성 비교 연구 = A study of comparison facial expression consistency for realistic digital human design : focused on the MetaHuman rig and ARkit rig : 메타휴먼 리그와 ARkit 리그를 중심으로
김륭희
p. 34-44
브랜드 아키텍처 전략에서 브랜드 콘셉트의 시각적 복잡성 연구 = A study on visual complexity of brand concept for brand architecture strategy : focused on the symbolic ‘T-branding’ and experiential ‘P-branding’ brands : 상징형 ‘T-branding’과 경험형 ‘P-branding’ 브랜드를 중심으로
김인경
p. 46-58
케이팝(K-Pop)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미국 문화 소재에 관한 시각 기호 분석 = An analysis of visual signs on American cultural materials in K-pop music videos : focusing on the five examples of music videos : 다섯 편의 뮤직비디오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곤
p. 60-73
에코라이프를 위한 기업의 ESG 경영과 라벨프리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corporate ESG management and label-free eco-friendly packaging designs for eco-life
김재형
p. 76-87
공공기관 정책홍보 정보 제공 유형 차이에 따른 수용자 태도 분석 = Analysis of viewers' attitudes based on differences in information delivery types for public institution policy promotion : comparison of press releases, card news, video content : 보도자료, 카드뉴스, 영상콘텐츠 비교
박재형, 김종무
p. 90-103
산모의 산후우울 관리를 위한 자가 진단과 유형 맞춤형 솔루션 서비스 제안 = Self-diagnosis and type-specific solution for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servive[실은 service] suggestions : focused on factors related to millennials & gen Z and self-awareness : MZ 세대 및 자기인지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김지원, 구유리, 허은영, 정선경, 안수진, 김종혁
p. 106-121
매트리스 디자인 개비온의 사면 보강효과 연구 = A study on slope reinforcement effect of mattress design gabion
이종호
p. 124-133
디지털 전시의 관람 동기와 재 관람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visiting motivation and re-visiting factors of digital exhibition
금진우
p. 136-150
ChatGPT, Midjourney, StableDiffusion, Blockade Labs의 스마트AI가 생성한 텍스트기반 이미지기술 분석 = Analysis of text-based image technology generated by smart AI of ChatGPT, Midjourney, StableDiffusion, and Blockade Labs
김영일
p. 152-162
Reshaping creative content = 창조적 콘텐츠 재구성 : 잠재 확산 모델의 복도 디지털 쇼케이스 : a corridor digital showcase of latent diffusion models
Campos Escobar Ana Karen, No, Seung Kwan
p. 164-178
스마트플러그 IoT 앱에서 조건기반 자동화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선방안 = Improvement of interfaces for implementing condition-based automation in smart plug IoT apps : focused on Tuya Smart app : 투야 스마트 앱을 중심으로
김진곤
p. 180-195
전통색으로서의 오방색 적용 인정 조건에 대한 고찰 = A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to accept as Korean traditional colors using Obangsaek
구본영
p. 198-210
멀티모달 AI를 활용한 안심 귀가 서비스제안 = Proposal for safe return home service using multimodal AI
강봉훈, 구유리, 서승우, 김성희, 정창원
p. 212-225
먹방(Mukbang) 유튜브 썸네일의 시각적 유형 차이에 따른 시청자의 태도 분석 = Analysis of audience attitude according to visual types of Mukbang YouTube thumbnail
전영진, 김종무
p. 228-237
둔황 요소를 응용한 중국 전통문화 일러스트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illustration design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using Dunhuang elements
정가진, 정원준
p. 240-254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한복 문화정책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al policy of hanbok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image
이상례, 김미현
p. 256-266
저시력자 크리에이터를 위한 인클루시브 카메라 구조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inclusive camera structure design for low vision creators
김도아, 안채량, 정나은, 강수진
p. 268-281
2023년 클리오 광고제 신설 카테고리 부문 수상작 분석을 통한 광고 트렌드 연구 = Researching advertising trends by analyzing winners of new categories at the 2023 CLIO Awards : focused on new technical/technology categories : 기술/테크 관련 신설 부문을 중심으로
김민우, 이준서
p. 284-299
로컬 커뮤니티 플랫폼의 인터랙션 및 효과 분석 = An analysis on interactions and effects of local community platforms
김초롱
p. 302-313
원문보기
(A) study on the continuous attraction strategy of traditional Chinese village = 중국 전통마을의 지속적인 관광객 유치 전략에 관한 연구 : 관광객의 선택속성을 중심으로 : focused on the tourist's selection attribute
Liu, Zhen-yu, An, Guo-Qiang, Hong, Chang-kee
p. 316-331
윤리적 가치소비자를 위한 가치소비 플랫폼 서비스 제안 = Proposal for a value consumption platform service design for ethical value consumers : focused on community mapping : 커뮤니티 매핑을 중심으로
전세진, 이수민, 이해인, 김희원, 구유리
p. 334-350
도시재생 사업에서 주민활동 및 사회적 자본에 대한 계층 군집 분석 = Hiarchical[실은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of resident activities and social capital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한양수
p. 352-362
틱톡(TikTok)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for watching on TikTok Korean tourism contents and credibility of creator on visiting intention to Korea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Hallyu preference and immersion : 한류 호감도와 몰입 경험을 매개 변인으로
양몽림, 김종무
p. 364-377
페미니즘 영화에 나타난 여주인공의 이미지 표상과 패션 상징성 연구 = A study on the image representation and fashion symbolism of female protagonists in feminism films
배성현, 김미현
p. 380-390
가상현실 쇼룸에서 3D 모델의 사실성이 소비자 반응 요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alism of 3D models on consumer response factors in virtual reality showroom
하정수, 우종범, 김한종
p. 392-407
브랜드 충성도 구축을 통한 팬덤 마케팅 = Fandom marketing through building brand loyalty
조상미, 신창엽
p. 410-423
원문보기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 기반 건강보조식품 패키지디자인 키워드 분석 = Analysis of keywords of health food packaging design based on social network big data
왕월, 정원준
p. 426-436
지속가능한 뉴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new media art exhibition space
김소희, 김정범
p. 438-449
사용자 중심의 애착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ser-centered attachment design : focused on the companion animal mobile apps : 반려동물 모바일 앱을 중심으로
이슬비, 한창호
p. 452-470
예술작품 - 제품 결합 형태의 적합성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fit in artwork-product combinations on consumer evaluations :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generated images and artist : 인공지능(AI) 생성 이미지와 작가 작품을 중심으로
남지연
p. 472-483
증강현실 포스터의 특성이 관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poster characteristics on audience preference : aimed at generation Z in Beijing, China : 중국 베이징 Z세대를 대상으로
차민옥, 구자준
p. 486-501
신화론으로 본 AI예술의 생성이데올로기 = Generative ideology of AI art through mythology aspect
이종철
p. 504-514
(A) study on weaving technology and decorative arts of Chongming homespun = 충밍 무명베의 직조 공예 및 장식 예술 연구
Wu, Hui, Kymn, Kyung Sun
p. 516-531
메타버스 콘텐츠를 위한 3D 캐릭터 AI 시스템분석 = 3D character AI system analysis for metaverse content
김영일
p. 534-543
프로모션에서 표현되는 BTL 광고의 비주얼 사례 연구 = A visual case study of BTL advertising expressed in promotion : centering on the design strategy of local events : 지역행사의 디자인 전략의 중심으로
김상현
p. 546-557
신문광고에 나타난 주부표상과 식문화의 근대화 전략 =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strategy of housewives representation and food culture in newspaper advertisements : focusing on Ajinomoto advertisements in 1920s and 1930s : 1920~1930년대 아지노모토 광고를 중심으로
고선정
p. 560-571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침입성이 피로감을 매개하여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trusiveness of online customized advertising on ad avoidance by mediating fatigue : focusing on moderated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ad suitability : 광고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민철, 김은희
p. 574-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