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컴퓨터 교육에의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KCI 등재지의 관련 논문 68편을 체계적인 문헌 분석, LDA 알고리즘 기반 토픽 모델링,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23년 ChatGPT의 등장 후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가 크게 활성화 되었으며, 언어 관련 주제의 교육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생성형 인공지능과 관련한 다수의 연구가 ChatGPT에 대한 연구이며, 일부 이미지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연구도 있다. 현재 연구 방식은 주로 생성형 인공지능의 실험적 활용을 통한 교육적 가치 탐색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 대상의 다양화, 여러 연령대 학습자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의 필요성 등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반 교원을 위한 인공지능 소양 프레임워크 개발 =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framework for general teachers 정기민, 김수환, 김현철 p. 1-14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Exploration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utilization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이수환, 송기상 p. 15-27

카오스 엔지니어링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ChatGPT를 활용한 오류해결형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의 개발 = Development of error-solving programming education method using ChatGPT based on chaos engineering process 박찬정, 현정석 p. 29-40

교육용 XR 저작도구 활용 수업의 효과성 및 창의적 자아효능감과 학습태도, 지각된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ducational XR authoring tool and impact of creative self-efficacy, learning attitude and perceived enjoyment 황윤자, 정재연 p. 41-49

빅데이터 분석과 ChatGPT를 활용한 반도체 인력 양성 방안 분석 = An analysis of SemiConductor training in human resources utilizing big data analysis and ChatGPT 김준엽, 김의정, 강신천, 김창석 p. 51-67

온라인 교육에서 교수자 얼굴 포함 여부에 따른 학습자 인지부하, 집중력, 성취도의 차이 연구 = Analyzing the influence of instructor's face and gestures on online learner's cognitive load,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김동심, 류다현 p. 69-78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를 활용한 국어 융합 수업이 중학생의 국어 교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class using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o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subject competency 정혜진, 이다연, 이은서 p. 79-88

잔차 CNN 기반 컬러 영상 보간 기술 = Color image interpolation technology based on residual CNN 김승종 p. 89-95

초등학교 교실에서 ChatGPT 활용 수업의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of ChatGPT based learning in elementary classrooms 김지일 p. 97-115

생성형 AI를 활용한 AI 보조교사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연구 = An architecture for AI assistant teacher software based on generative AI services 김승구 p. 117-126
생성형 AI 기반 학습자 맞춤형 교육 시스템 설계를 위한 구성 요소 탐구 = A study on components for designing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s based on generative AI 한옥영 p. 127-141

생성형 AI 기반 교수설계 지원 플랫폼 개발 및 시범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enerative AI-based instructional design platform 강신천, 허희옥 p. 14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