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통합교육 장면에서 특수교육대상자가 보이는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협력 경험을 살펴보고 원활한 협력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일한 특수교육대상자를 담임하고 문제행동 중재를 위해 6개월 이상 협력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가 연구 참여자로 참여하였으며, 2명이 1팀으로 총 6팀, 12명이 참여하였다. 그룹 면담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연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상위 주제, 17개의 하위 주제가 확인되었으며, 상위 주제는 ‘문제행동 시 협력으로 사용한 방법’, ‘문제행동 중재 시 협력의 긍정적인 면’, ‘문제행동 중재 시 협력의 어려움’, ‘문제행동 중재 시 더 나은 협력을 위한 바람과 요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를 토대로 문제행동 중재 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협력을 돕기 위한 제언 및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청소년의 탄력성과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s using social problem solving strategy on resilience and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s of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임은주 p. 29-50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메타버스 기반 통합교육의 필요성 및 실현 가능성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metaverse-based inclusive educ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general schools 김원형, 한경근 p. 51-70

초등학교 학급 구성원으로서의 통합교육 경험 = Pupils’ voice of their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 perception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airness and unfairness : 같음과 다름, 공평과 불공평의 경험적 의미 강옥려, 김지영 p. 71-97

특수학급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특수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및 지원 요구 = A study on the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prospectiv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 learning in special classes 김라경, 최민식 p. 99-121

경계선급 지적 기능(BIF) 아동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지원 요구 사항 =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심고은, 이대식 p. 123-143

통합교육 장면에서 특수교육대상자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협력 경험 = Collaborativ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곽남지, 강영심, 손성화 p. 145-173

델파이 분석을 통한 학습지원대상 학생 조기 선별을 위한 어휘 선별 검사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ssessment appli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rough Delphi analysis 이예다나 p. 175-199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문제행동 디지털 치료제 사용성 평가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usability assessment of digital therapeutics for challenging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이영지, 김주혜 p. 201-219

장애아동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이용 실태, 부모의 만족도 및 개선을 위한 요구 조사 = The survey on status of use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ents’ satisfaction and requests for improvement on the services : focused on Gyeongsangnam-do :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김요섭 p. 221-243

전국 특수학급 과밀 배치 현황 분석을 통한 한국 통합교육 정책과 특수교육법 개정 방안 = An analysis of the overcrowding of special classes nationwide Korea's inclusive education policy and revi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이정윤, 박소영, 서용선 p.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