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독일 특수교육 교육과정 각론과 학교교육과정 지원방안의 특징 및 시사점 =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German federal states and support for the school curriculum : focusing on the state of North Rhine-Westphalia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를 중심으로 이숙정 p. 1-35, [1-2]
일탈된 성 행동 경험이 있는 지적장애 여성의 인지·심리 특성 분석 = Analysis of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ly disabled women with experience of deviant sexual behavior 차세진 p. 37-72

학령기 ADHD 아동의 문맥 유무에 따른 관용어 이해 특성 = Characteristics of the understanding of idioms by context in school-aged ADHD children 강혜원, 최소영, 김가림 p. 73-92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와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제재곡 비교·분석 = Comparison and analysis of music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tion[실은 education] 권혜진, 전병운 p. 93-110
일반 아동과 경계선지능 아동의 동음이의어 정의하기 능력 비교 =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 of homonyms by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김동원, 고선희 p. 111-126
합성파닉스 및 음운처리 중심 철자교수를 중심으로 한 증거기반 영어 교수가 영어 학습부진학생의 영어 단어인지와 철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vidence-based English instruction centered on synthetic phonics and phonological-based spelling instruction on the English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of students with English learning difficulties 박설, 김애화 p. 127-154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마음 이론 = Theory of mind in school-ag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박주희, 황민아, 최경순 p. 155-168
중등 특수교사의 소규모 학교 특수학급 운영 경험과 지원 요구 =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operating special classes in small schools and requests for support : the experience of small schools in Gyeonggi-do : 경기도 내 소규모 학교 경험 중심 이지선, 전상신 p. 169-195
시각적 단서 활용 자기관리중재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정보권, 김은경 p. 197-229
활동중심 장애공감교육이 초등 고학년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교우관계문제 및 장애학생의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n activity-based disability empathy education program on the empathy competence and peer relations problems of non-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activity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방명애, 김옥주 p. 231-255
장애전문어린이집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silience on job stress in childcare teacher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ized child care centers 손성화, 강영심, 박선희 p. 257-278
시각장애 대학생의 학업 및 대학 실태와 학생지원에 대한 실제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f visually impaired college students' academic work, school life, and support :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parents, university staff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시각장애 대학생, 학부모, 담당인력을 대상으로 이신영, 권성진 p. 279-303
특수교육 분야의 회복탄력성 국외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tic study of international trends in resilience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허영진, 김선영, 안민경, 이병인 p. 305-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