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김초엽의 SF들인 「늪지의 소년」, 「오래된 협약」, 「오염구역」에 형상화된 비인간 행위주체들이 인간의 신체와 맺는 상호작용과 공생의 양상들을 신유물론의 행위자 연결망 이론, ‘생동하는 물질’, 공-산(共-産), 내부작용, 신체 횡단성 등의 개념들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그것들이 표상하는 젠더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김초엽의 SF에서 나타나는 비인간 행위주체성과 신체횡단성, 수행적 내부작용의 양상들은 인간과 비인간 행위주체들이 관계적 얽힘에 의한 수행적 존재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로써 김초엽의 SF들은 생태주의에 기반한 포스트휴먼 페미니즘의 개념들을 작동시켜, 젠더를 현존하는 세계와 관계들에 내재한 무궁무진한 변화의 잠재성을 지닌 대상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행위주 이동 자동사에 대한 통시적 연구 = A diachronic study on the ag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 focusing on the change of lexical system of simple verbs based on locomotion direction : 이동 방향에 따른 단순동사의 어휘 체계 변화를 중심으로 신은수 p. 1-28

담화에서의 문장부사어의 정보적 특성 =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sentence adverbials in discourse : focused on cognitive grammar and information structure : 인지 문법과 정보 구조를 중심으로 이후인 p. 29-49
전염 현상에 의한 머릿속 사전의 의미 변화 = Semantic change of mental lexicon with contagion 문지현 p. 51-76
한국어의 구문화와 구문 변화 = Constructionalization and constructional change in Korean : focusing on construction '[XP 할 것 없이]' : [XP 할 것 없이] 구문을 중심으로 이영제 p. 77-110
김석주의 의론문 연구 = Research on Kim Seok-ju's argumentative writings : focusing on stabilizing people's livelihoods and improving systems : 민생 안정과 제도 개선을 중심으로 김수현 p. 111-131
「지네장터」에 나타난 자기성장과정 = The process of self-growth shown in the Seolhwa Centipede Market 박연희 p. 133-156
이야기의 ‘기능’적 접근을 통한 온톨로지 활용방안 = Ontology utilization through 'function' approach of story : focusing on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韓國口碑文學大系) : 『한국구비문학대계』를 중심으로 오정미, 정소영 p. 157-184
홍경모(洪敬謨)의 조귀명(趙龜命) 산문 수용 양상 = The aspects of Hong Gyeongmo's acceptance of Cho Gui-myeong's prose 문미애 p. 185-211
윤곤강 시의 감각과 반근대 의식 = Sense and anti-modern consciousness in Yoon Gon-gang's poetry 박진희 p. 213-238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시의 현실 인식과 공생의 윤리 = Korean poetry's recognition of reality and ethics of symbiosis in the post-corona era 이혜원 p. 239-267
하이퍼서사의 서술 전략 연구 = Narrative strategies of the hypernarrative <Hammurabi's Secret Chamber> : <함무라비의 밀실>을 중심으로 장노현 p. 269-292
노천명 시의 고향과 근대성의 상관 관계 = The correlation between hometown and modernity in Noh Cheon Myeong's poetry 송기한 p. 293-314
프레임의 의미 정립과 문학 해석적 시도 = Attempt to establish meaning of frame and to literately interpret it : focusing on Lee Seongseon's prose poem, 『Child Dreaming of Becoming a Poet』 : 이성선 산문시 『시인을 꿈꾸는 아이』를 중심으로 박지학 p. 315-341

박태순 기행문학 연구 = Park Tae-soon's traveling literature study : focusing on the meaning of 'national territory thought' and feminine gaze : ‘국토 사상’과 여성적 시선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우영 p. 343-370
김초엽 SF에 나타난 물질로서의 몸과 생태적 상상력 = The body as material and ecological imagination in Kim Cho-yeop 's SF : 「늪지의 소년」, 「오염구역」, 「오래된 협약」을 중심으로 윤영옥 p. 371-399

한국어 교육에서 ‘ㄹ’탈락 교육방안 재고 = Reconsideration of education plan after 'ㄹ' is eliminat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은기 p. 401-428
6T 접근법을 활용한 시사기반 한국어 수업 모형 개발 방안 = Development of a model for Korean language classes based on the six T's approach 박헤레나 p. 429-460

시 쓰기의 효과에 대한 연구 = A study for the effect of poetry writing 정한기 p. 461-487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 A study on teaching college writing using digital contents 이희영 p. 489-513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게 하다’의 ‘사용’ 정보 연구 = A study on the 'use' information of '-ge hada'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손다정, 김혜령 p. 515-545
알렌의 『A Language Book of Korean』의 「문장」 연구 = A study on the 「Sentences」 of Allen's 『A Language Book of Korean』 한하림 p. 547-580
ChatGPT를 활용한 교양 한국문학 수업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 liberal arts Korean literature class using ChatGPT 임미진 p. 58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