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품산 김직연은 36세에 문과에 합격한 이후 71세에 고향으로 귀향하기까지 오랜 관직 생활을 하였다. 그는 스스로 정리하고 필사한 문집 『품산만필(品山謾筆)』과 자서전 『품산자술(品山自述)』등을 남겼는데, 이중 『품산만필』을 보면, 20권 중에서 10권이 시를 담고 있으며, 그 속에 실린 시는 3,600수가 넘는다. 한 인물이 이토록 많은 시를 남긴 경우는 드문데, 『품산만필』은 아직까지 학계에서 논의된 바가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품산만필』에 실려 있는 김직연의 시 중에서 그가 애호하였던 칠언율시에 주목하고, 그 창작 양상을 아래와 같이 삼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빈번한 시사(詩社) 활동’이다. 시 짓기를 무척 좋아하였던 김직연은 시사(詩社)를 만들고 열성적으로 참석하였다. 그가 참여한 시사의 이름은 ‘서사(西社)’였는데, 서사(西社)는 인왕산 아래 서촌(西村)에서 모이는 것이 아니라, 회원들의 집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권3~권5에 수록된 칠언율시 중에 서사에서 지은 것이 무려 150여 회에 이른다. 이처럼 그는 여러 이들과 함께 시를 지으면서 동료애와 결속을 다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궁중에 진상한 절일첩(節日帖)’이다. 절일첩(節日帖)이란, 궁중에서 절기마다 신하들이 대궐에 올리는 송축시(頌祝詩)로, 절일첩을 지어 올리는 것은 정해진 날짜에 미리 선발된 인물만이 참여할 수 있다. 김직연은 무려 53수의 절일첩을 지었는데, 한 사람의 문집에 이처럼 방대하고 다채로운 절일첩이 실려 있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다. 이는 그의 오랜 관직 생활 및 궁중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의 시적 역량을 가늠케 해주는 자료가 된다.

셋째, ‘자연과 사물에 대한 폭넓은 관심’이다. 김직연은 조금이라도 한가한 시간이 나면 눈앞에 보이는 자연이나 계절, 사물을 시로 노래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사물에 대한 애정과 지식을 엿볼 수 있으며, 이러한 창작 양상은 그의 시에 대한 애호와도 연결 지어볼 수 있다. 김직연은 하나의 시제(詩題)를 정하면 거기에 연작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의 시 창작 욕구가 이와 같은 수많은 사물시를 낳은 것으로 보인다.

김직연의 시에는 위와 같은 특징들이 발견되는데, 그의 시들을 살펴보는 작업은 김직연 개인의 시세계를 심도 있게 고찰하는 데에 도움이 될뿐더러 당시 시사의 모습과 절일첩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적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논의된 바 없는 새로운 자료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문학사를 풍부하게 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최치원 문학의 생태문화적 상상력 = Ecological and cultural imagination of Choi Chi-won's literature 김재웅 p. 7-40

藥圃 鄭琢 시에서의 用事 활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Unsages[실은 usages] of Yongsa in Yagpo Jeong tag's poetry : focusing on Chineses classics : 經書를 중심으로 陳甲坤 p. 41-74

屛厓 曺善長의 생애와 시세계 = The study on Byeongae Jo Seon-jang's life and poetry 鄭炳浩 p. 75-101

品山 金直淵의 시세계 고찰 = A study on the poetic world of Pumsan Kim Jik-yeon 崔鍾虎 p. 103-125

「까치전」에서 갈등 상황과 그 차원 = Conflict situation and its dimensions in 「kkachijeon」(까치전) 최천집 p. 127-156

17세기 초 퇴계학파의 향촌복구책과 향약 시행 = The recovery measures and implementation of Hyangyag(鄕約) by the Toegye School during the early 17th century 김형수 p. 157-184

개화기 강증산(姜甑山)사상에 나타난 천지인(天地人) 삼계의 상관원리 = The interrelated principle of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s in Kang Jeungsan's thought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 focusing on Yin and Yang and Shindo : 음양(陰陽) 및 신도(神道)와 관련하여 고남식 p. 185-214

일제강점기 의성지역의 혁명적 대중운동 = Revolutionary mass movement in the Uiseong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심상훈 p. 215-237

식민지시기 ‘洞中’ 운영과 ‘契’의 지속 양상 = Trend of operation of 'Dongjung(洞中)' and sustainment of 'Gye(契)' during th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case of Pyeonghae(平海) Guam-dong(狗巖洞) : 平海 狗巖洞 사례를 중심으로 이광우 p. 239-275

『1945년 8・15』에 나타난 구호의 소설화, 소설의 정치화 읽기 = Reading the novelization of slogans and the politicization of novels in 『8·15, 1945』 노상래 p. 277-316

코로나19와 한국시의 전염병에 대한 자아성찰 = Self-reflection on COVID-19 and infectious diseases in Korean poetry 류해춘 p. 317-341

번역자행위비평 이론연구 = Criticism of Chinese translator behavior examination of theoretical research 요위위, 이흠명 p. 347-365

羅州 新村里 9호분과 百濟의 정치 변천 = Tomb No. 9 in Sinchon-ri, Naju and political transition of Baekje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Baekje and Daegaya : 百濟·大伽倻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정훈 p. 367-400

越南 自主 王朝의 成立과 變遷 = Establishment and changes of Vietnam's independent dynasty. 1, Focusing on the independent dynasty before the Lý Dynasty. 1, Lý王朝 以前 獨立 王朝를 中心으로 박순교 p. 40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