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소시엄 프로축구단의 성공 조건은 무엇인가? = What are the conditions for a consortium's professional football club to succeed? : focused on Chungbuk Cheongju Football Club : 충북청주프로축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진국, 김수현
|
p. 1-16
|
|
|
|
경영(京永) 단축마라톤대회(1931~1963)의 변천 과정 = The evolution process of the Gyeong-Yeong Short Course Marathon(1931~1963)
|
김재우, 하정희, 왕심위
|
p. 17-31
|
|
|
|
PPM(push-pull-mooring) 이론을 적용한 실내골프연습장에서 스크린골프연습장으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xamining switching intention from golf driving range to screen golf applying PPM theory
|
전중건, 윤지인, 한진욱
|
p. 33-47
|
|
|
|
생존수영에 관한 주관적 인식과 자기효능감이 학습태도, 수중불안 및 수상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subjective perceptions and self-efficacy of a survival swimming on learning attitudes, underwater anxiety and water safety behavior
|
김범
|
p. 49-61
|
|
|
|
태권도의 e스포츠화에 따른 전망과 과제 =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eSports of taekwondo
|
이상호
|
p. 63-74
|
|
|
|
태권도인으로서 대학 태권도 전공생들의 자부심 = The pride of college taekwondo students as a taekwondo person
|
석류, 곽정현
|
p. 75-86
|
|
|
|
Z세대 소비자의 스포츠 웨어러블 모바일 앱 쇼핑성향과 앱 속성 중요도, 구매의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y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
김용만, 노동연
|
p. 87-97
|
|
|
|
스포츠 ESG 이슈 분석 = Analyzing ESG issues in sports with topic modeling : 토픽 모델링 적용
|
최진선, 김예지, 김소연
|
p. 99-115
|
|
|
|
맥루한의 관점에서 본 e스포츠문화 = eSports culture from McLuhan's point of view : focusing on the 'Tetrad' : ‘테트라드’를 중심으로
|
김영선
|
p. 117-127
|
|
|
|
스포츠지도사 자격 제도 개선을 통한 스포츠 안전사고 예방 연구 = A study on preventing sports safety accidents through strengthening the sport-for-all sports instructor qualification system : focusing on ski instructor license : 스키 종목을 중심으로
|
김진국, 양성철
|
p. 129-142
|
|
|
|
빅데이터에 나타난 중장년 스포츠 활동 = Middle-aged sports activities in big data
|
김선희, 서일한
|
p. 143-154
|
|
|
|
OTT 플랫폼 스포츠 콘텐츠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ed use intention of OTT platform sports content users
|
황동규, 정지영, 김도균
|
p. 155-168
|
|
|
|
“배드민턴은 나에게 지팡이에요” = "Badminton is a cane for me" : baby boomers' experiences of serious leisure and successful aging through badminton : 베이비붐 세대들의 배드민턴을 통한 진지한 여가와 성공적 노화 경험
|
민재원, 이경은, 허진무
|
p. 169-183
|
|
|
|
초등학교 생존수영 의무교육 실천 현장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practice of compulsory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강민욱, 이병수
|
p. 185-195
|
|
|
|
국내 체육학 분야의 안전 관련 연구 동향 탐색 = The trend of safety-related researches in the field of domestic sports science : focus on academic journal researches since 2000 : 2000년 이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박현욱, 이향범, 임경묵
|
p. 197-205
|
|
|
|
스포츠 진성리더십의 개념 구체화를 위한 모형개발 = Model development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sports authentic leadership : based on Aristotle's virtue idea :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사상을 기반으로
|
홍영인
|
p. 207-216
|
|
|
|
스포츠공익법인의 클러스터 개발을 통한 공유가치창출(CSV)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the vitalized scheme of creating shared value(CSV) of nonprofit sports public corporation
|
김로한, 김태형
|
p. 217-228
|
|
|
|
체육 전공 교수자 상호작용과 다양한 변인의 구조적 관계 및 커뮤니케이션 선호와 시간의 조절효과 검증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PEI) interaction, various variables and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preference and time
|
정지영, 정승훈
|
p. 229-250
|
|
|
|
일회성 유산소 운동이 성별에 따른 IL-6, HSP70 및 HSP90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x on IL-6, HSP70 and HSP90 in response to an acute aerobic exercise
|
이문진, 김은숙, 김도현, 윤성진
|
p. 251-262
|
|
|
|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을 통해 본 가상 체육공간에 대한 철학적 논고 = A philosophical study on virtual sports space seen through Lefebvre's spatial theory
|
김소미, 김정은
|
p. 263-274
|
|
|
|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유형이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이동운동기술에 미치는 효과 = A meta-analysis on improvement in locomotor skill of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메타분석
|
임상훈
|
p. 275-292
|
|
|
|
스타디움⋅아레나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tadium and arena policy : Japan's case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성
|
p. 293-314
|
|
|
|
2038 대구광주 하계아시아경기대회 유치에 대한 고찰 = The requirements and strategic plans for the successful bid of the 2038 Daegu-Kwangju Summer Asian Games : 과제 및 추진전략
|
김성하, 전원재
|
p. 315-330
|
|
|
|
운동선수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 How do athletes perceived stress? : grounded theory : 근거이론 관점
|
소하연, 나정은, 정지혜
|
p. 331-349
|
|
|
|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여가 스포츠 활동과 액티브 에이징 (Active aging) = Post-retirement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active aging of baby boomers
|
배재윤
|
p. 351-366
|
|
|
|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스포츠 창업에 관한 주요 속성 및 군집 도출 = Derivation of key attributes and clusters for sports start-up according to the COVID-19 pandemic
|
김동규, 박성언
|
p. 367-377
|
|
|
|
Q방법론을 활용한 스포츠강좌이용권에 대한 주관적 인식 분석 = Subjective perception analysis of sports course vouchers using Q methodology
|
노용구, 우성희, 신규리
|
p. 379-394
|
|
|
|
국내 프로야구 선수의 연령에 따른 경기력 변화 = A changes in performance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depending on age
|
오승욱, 한진욱
|
p. 395-405
|
|
|
|
학생선수의 성격특성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student athletes
|
최미란
|
p. 407-419
|
|
|
|
엘리트 운동선수의 코칭역량 척도에 대한 문항 양호도 = Item usability on the coaching competency scale for elite athletes : a comparison of individual and team athletes : 개인종목선수와 단체종목선수의 비교
|
심영균, 남윤배
|
p. 421-431
|
|
|
|
특수체육 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수요자의 주관성 유형화 = Consumer perception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college
|
명왕성
|
p. 433-444
|
|
|
|
골프 퍼팅에서 지면반력 피드백을 이용한 운동학습 효과 =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through ground reaction force feedback in golf putting
|
김혜리, 김정원, 조이슬, 김가경, 육동원
|
p. 445-454
|
|
|
|
모바일 스포츠앱 정보습득동기와 지속이용의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information seeking and continuing intention of mobile sport team apps : focused on the moderation effect of commitment to fantasy sports games : 판타지스포츠게임 몰입의 조절효과
|
황선환, 이유진
|
p. 455-464
|
|
|
|
중년 여성의 하체 강화 운동이 발 아치 및 체형, 통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s of lower body strengthening exercise on foot arch, body shape, and pain in middle-aged women
|
남윤서, 권영두
|
p. 465-474
|
|
|
|
고령자 온라인 건강운동 참여에 따른 디지털역량, 디지털활동, 이용성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digital utilization, and performance for online health exercise on the elderly
|
고대선
|
p. 475-484
|
|
|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MZ세대의 스크린골프 참여지속의도 분석 = Analysis of MZ generation's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screen golf by apply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임건우, 이철원, 김민정
|
p. 485-496
|
|
|
|
생활체육인과 전문체육인의 부상 심각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Factors influencing injury severity in recreational and professional athletes :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considering sex, age, exercise level, and sports activity habits : 성별, 연령, 운동 수준 및 스포츠 활동 습관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중심으로
|
소위영, 박성은
|
p. 497-509
|
|
|
|
스포츠지도자의 스포츠안전 PREP(준비) 요인탐색 = Sports safety PREP factors for sports instructor
|
류민아, 이섬균
|
p. 511-527
|
|
|
|
스포츠 안전교육 중요성과 참여 지속성 및 안전 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ports safety education, continuity of participation, and awareness of safety culture : focusing on sports leaders : 생활체육 지도자를 중심으로
|
김로한, 서일한
|
p. 529-541
|
|
|
|
스포츠안전재단의 스포츠행사 안전관리점검 서비스를 통한 스포츠 이벤트(전국규모대회) 개최 시 유해⋅위험성 감소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that reduce the risk of the sports safety foundation sports event safety management inspection service on sports events
|
김진성, 이기광
|
p. 543-556
|
|
|
|
연관규칙 마이닝을 활용한 생활체육과 전문체육 참여자의 스포츠 부상패턴 탐색 = Exploration of sports injury patterns among participants in life sports and professional sports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
오상은, 이승박, 강민수
|
p. 557-570
|
|
|
|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안전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 Explor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in sports safety research using big data : utilizing network-based keyword analysis : 네트워크 기반 키워드 분석 활용
|
이지용, 임효성
|
p. 571-583
|
|
|
|
도대체 내적일관성이란 무엇인가? = What does it mean by internal consistency?
|
김진욱
|
p. 585-596
|
|
|
|
혼합현실 사이클링 플랫폼 참여자의 참여동기, 운동재미,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exercise enjoyment, and exercise continuance intention of participants in mixed reality cycling platforms
|
남관희, 박범영
|
p. 597-610
|
|
|
|
부모의 양육태도가 무용전공 학생의 정서지능 및 그릿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grit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
추나영
|
p. 611-621
|
|
|
|
가로채기 과제 수행 시 QE 기간의 조작에 따른 엘리트 야구 타자의 QE 기간과 활동의 분석 = Analysis of elite baseball batter's QE du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QE duration manipulation during interceptive task performance
|
장덕찬
|
p. 623-635
|
|
|
|
온라인 플랫폼 무용 교육 콘텐츠 활용 경험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탐색 = Exploring improv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experience using online platform dance education content
|
김혜미, 최은지
|
p. 637-650
|
|
|
|
본래적(Eigentliche), 비본래적(Uneigentliche) 인간 실존으로 본 스포츠안전에 대한 접근 = Approaching sports safety through the lens of authentic(Eigentliche) and inauthentic(Uneigentliche) human existence
|
백소하, 장현우, 이경숙
|
p. 651-66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