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청각장애아동의 산림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각 요인의 가중치를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자(농학교 특수교사), 현장전문가(사회복지사, 언어치료사), 산림복지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C대학교 외 1곳 산림치유대학원생 및 교수)를 대상으로 청각장애아동의 산림교육 구성요소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총 183명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주성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0개의 설문항목은 사전교육, 생태활동 및 감각체험의 3개 구성요소로 축약되었으며 청각장애아동 산림교육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가중치는 사전교육 48%, 생태활동 31% 및 감각체험 21%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산림교육 프로그램은 위 연구 결과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발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ing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deaf children by identifying key components and their respective significance. Throughout this study we surveyed 183 professional educators, field specialists and forest welfare specialists and we used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to analyze the results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As a result, 10 questionnaire contents were abridged into 3 components of pre-education, ecological activity and sensory experience, and the weights affecting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deaf children were analyzed to be 48% for pre-education, 31% for ecological activity and 21% for sensory experi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easonable to develop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deaf children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인의 자연연관태도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nature-related attitude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n happiness of older adults 권성미, 신원섭 p. 1-12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산림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요인 분석 = Analysis of key components for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deaf children 유진선, 신창섭 p. 13-21

게슈탈트 요법을 기반으로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orest healing program developed based on gestalt therapy on job stres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순옥, 신창섭, 이재용 p. 23-36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설문구조 변화분석 = Analyzing changes in the survey structure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Survey on Forest 민지애, 유리화, 김주미, 장윤성, 이지은, 장주연 p. 37-53

수목 정유의 각성 및 이완 효과 = Awakening and relaxing effects of essential oils from trees 고혜정, 정다워, 송도윤, 안시옥, 박범진 p. 55-67

지역사회 기여 관점에서 사유림 선도산림경영단지의 거버넌스 운영실태 분석 = Analyzing the governance operational status of leading forest management zones in private forest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contribution 김주미, 장윤성, 유리화 p. 69-82

앱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처방 기반 숲길걷기의 경험 분석 =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forest walking based on exercise prescription utilizing app and wearable device 이가영, 김초윤, 김주현, 정다워, 이상근, 박준성, 박석희, 이윤정, 박범진, 송초롱 p. 83-97

암 생존자 지지 활성화를 위한 산림치유 서비스 항목 체계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forest-based therapeutic service elements to revitalize support for cancer survivors 이조은, 박범진 p. 99-116

기후위기 시대 생활권 녹지의 산림복지서비스 증진을 위한 주요 관목 50종의 탄소흡수량 비교 = Comparison of carbon uptake of 50 shrubs for the promotion of forest welfare services in neighborhood green space to climate crisis 김학구, 권경원, 김세화, 문형진, 형세진, 홍용식, 피정훈, 김찬범 p. 117-132

산림이용객의 방문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치유자원 및 산림치유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forest healing effects that affect forest user’s visi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이효정, 강재우, 조성희, 최정호 p. 133-148

계층화분석(AHP)을 이용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에게 적합한 도시숲 평가지표 개발 =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urban forests suitable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patient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김난희, 민경민, 전진영 p. 149-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