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아동의 산림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각 요인의 가중치를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자(농학교 특수교사), 현장전문가(사회복지사, 언어치료사), 산림복지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C대학교 외 1곳 산림치유대학원생 및 교수)를 대상으로 청각장애아동의 산림교육 구성요소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총 183명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주성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0개의 설문항목은 사전교육, 생태활동 및 감각체험의 3개 구성요소로 축약되었으며 청각장애아동 산림교육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가중치는 사전교육 48%, 생태활동 31% 및 감각체험 21%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산림교육 프로그램은 위 연구 결과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발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ing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deaf children by identifying key components and their respective significance. Throughout this study we surveyed 183 professional educators, field specialists and forest welfare specialists and we used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to analyze the results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As a result, 10 questionnaire contents were abridged into 3 components of pre-education, ecological activity and sensory experience, and the weights affecting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deaf children were analyzed to be 48% for pre-education, 31% for ecological activity and 21% for sensory experi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easonable to develop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deaf children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