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1970년대 계간지에 수록된 여성소설을 당대 비평 담론과의 연관성 하에서 감정사회학의 관점으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1970년대 계간지는 기존의 문단 시스템을 해체하고 당대 지배 권력과 길항했다는 점에서 저항성을 지니고 있었다. 1970년대 계간지에 여성작가인 박완서와 오정희의 소설이 발표되고 중요하게 다루어졌다는 사실은 이들이 ‘여류(女流)’라는 테두리에 갇혀 비교적 제한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발화해왔던 일군의 여성작가들과는 달리 당대 저항 담론과의 관련성 속에서 사회・정치적인 맥락을 공유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박완서와 오정희는 『창비』와 『문지』 등의 ‘계간지’와 호응한 거의 유일한 여성작가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발견된다. 박완서는 「조그만 체험기」에서 여성 주체가 겪는 모멸감과 공포를 합리성과 민주성을 결여한 차별적이고 폭력적인 국가 권력에 대한 분노나 공포로 폭넓게 확장한다. 이 시기 박완서의 소설 쓰기는 성별 관계의 표상에만 집중하던 당대 비평장 내에서 ‘탈 여류’의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다분히 저항적이고 정치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는 1970년대 여성 주체가 문단과 시대를 대상으로 ‘이중의 저항성’을 내포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문지』에 재수록된 오정희의 「적요」에서 드러나는 혐오감과 무력감은 역설적으로 불합리한 젠더 질서와 억압적 정치 현실에 대한 저항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드러낸다. 1979년 『문지』 봄호에 발표된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는 이러한 남성 중심적 폭력적 세계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인식이 보다 확장된 작품이다. 오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다양한 감정들은 문제적 세계에 대한 주체의 고민과 갈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정치적 주체화의 과정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1970년대 계간지에 수록된 여성소설은 새롭게 형성된 비평담론의 자장 내에서 저항성과 운동성을 지닌 목소리라는 점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카프 해산기의 임화와 평양의 로컬리티 = Im Hwa in the KAPF disbandment period and locality of Pyeongyang 박정선 p. 9-45

『지구 끝의 온실』에 나타난 자연재해 아포칼립스 세계의 주체와 공동체 연구 = A study of subjects and communities in a natural disaster apocalypse in the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World』 김주선 p. 47-66

계간지 시대의 저항 감정과 여성 소설 = Resistance emotions in the quarterly magazine era and women’s novels : focusing on Park Wan-so and Oh Jung-hee’s novels in quarterly magazines : 박완서와 오정희의 계간지 수록 소설을 중심으로 박윤영 p. 67-101

비가시계에 대한 홍상수의 영화언어 = Hong Sang-soo’s film language for invisible world : focusing on <Grasses> : <풀잎들>을 중심으로 한귀은 p. 103-135

시간의 정서적 변조 = Emotional anachrony : sharing and isolation phenomenon : 공유와 격리 현상 박형서 p. 137-159

김말봉의 『찔레꽃』에 드러난 지식인 노동자의 표상과 그 의미 = The identity and meaning of intellectual workers revealed in Kim Mal-bong’s 『A Brierrose Flower』 : focusing on worker perception in popular novels in the 1930s : 1930년대 대중소설의 노동자 인식을 중심으로 엄학준 p. 161-185

문화 공간의 서사 공간 변환 공정 = Narrative spatial conversion processing of cultural space : an attemptive essay on cognitive processing of Honbul : 『혼불』의 인지 공정을 단서로 한 시론 장일구 p. 187-209

백수린 소설에 나타난 이방인의 실존과 세계시민성 간의 상관관계 고찰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strangers and global citizenship in Baek Su-rin’s novel 정도미 p. 211-233

<太原誌>의 대외인식과 세계관 = The external perception and worldview of <Taiwonji> 양혜승 p. 235-264

처용설화의 텍스트 언어학적 읽기 = A textual linguistic reading of a ‘Cheoyongseolhwa’ : functional and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dance’ : ‘춤(舞)’의 기능과 맥락적 해석 강지연 p. 265-288

포스트휴먼 담론과 고전서사의 장르론 연구 = A study on posthuman discourse and genre theory of classical narratives : focusing on the fantastical nature of ghost narratives : 귀신 서사의 환상성을 중심으로 오세정 p. 289-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