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좋은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해석적 현상학의 방법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좋은 체육수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인식을 하게 된 배경에는 어떤 경험이 있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좋은 체육수업을 실천하기 위해서 어떤 접근법(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천에 장애가 되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론은 해석적 현상학을 사용하여 4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면담과 개방형 질문지, 이메일 서신, 진술문 선택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상학적 면담은 총 3회에 걸쳐 각각 90∼120 분간 진행되었으며, 한 면담에서는 20개의 진술문을 제공한 후 좋은 체육수업에 대해 가장 동의하는 진술과 동의하지 않는 진술을 선택하도록 유도하였다. Smith, Flowers, Larking(2009)이 제시한 해석적 현상학적 분석 방법(IPA)을 사용하여, 좋은 체육수업에 대해 연구참여자별로 각각 ‘재미있는 수업과 흥미를 자극하는 수업’, ‘자발적 신체활동을 유도하는 수업’, ‘모두가 참여하는 수업’, ‘정해진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수업’으로 주제를 구성하였다. 한편 연구참여자는 ‘창의적인 사고 개발’이나 ‘기본기에 충실한 수업’, ‘학생에게 권한과 선택권을 주는 수업’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이러한 인식을 갖게 된 배경은 체육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개인적 교육철학, 각종 교직경험(관찰경험, 실패경험, 전담경험 등)을 들 수 있으며, 교사들은 좋은 체육수업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게임화나 게임의 변형, 자신만의 수업규칙 및 루틴 설정, 지도서의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좋은 수업을 실천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는 개인적인 운동능력 및 운동지식의 부족과 학생의 안전에 대한 고려를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a good physical education (PE) class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Interpretive phenomenology was employed as a research method.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 a voluntary basis. Data were collected via phenomenological interviews with the four teachers and an open-ended questionnaire with 20 questions sent by emai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ethod based on Smith, Flowers, and Larkin’s approach (2009). The four participants revealed their perceptions of a good PE class as follows: “class with enjoyment,” “directed toward students’ voluntary physical activities during and after class,” “class with all students’ participation,” and “class that attains the learning objectiv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lso indicated three factors that are considered less important: “class for developing creativity,” “class teaching basic movement skills,” and “class giving decision-making authority to students.” These perceptions were derived from their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PE, their personal education philosophy, and teaching experiences (observation, experience of failure, etc.). Their basic strategies for conducting a good PE class included gamification and rule change, setting up their own principles and class routines, and providing texts for study. Finally, the barrier to conducting a good PE class was, in their view, a lack of movement skills, limited knowledge regarding PE, and concerns regarding students’ safety. Sever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study.*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