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좋은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해석적 현상학의 방법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좋은 체육수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인식을 하게 된 배경에는 어떤 경험이 있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좋은 체육수업을 실천하기 위해서 어떤 접근법(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천에 장애가 되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론은 해석적 현상학을 사용하여 4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면담과 개방형 질문지, 이메일 서신, 진술문 선택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상학적 면담은 총 3회에 걸쳐 각각 90∼120 분간 진행되었으며, 한 면담에서는 20개의 진술문을 제공한 후 좋은 체육수업에 대해 가장 동의하는 진술과 동의하지 않는 진술을 선택하도록 유도하였다. Smith, Flowers, Larking(2009)이 제시한 해석적 현상학적 분석 방법(IPA)을 사용하여, 좋은 체육수업에 대해 연구참여자별로 각각 ‘재미있는 수업과 흥미를 자극하는 수업’, ‘자발적 신체활동을 유도하는 수업’, ‘모두가 참여하는 수업’, ‘정해진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수업’으로 주제를 구성하였다. 한편 연구참여자는 ‘창의적인 사고 개발’이나 ‘기본기에 충실한 수업’, ‘학생에게 권한과 선택권을 주는 수업’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이러한 인식을 갖게 된 배경은 체육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개인적 교육철학, 각종 교직경험(관찰경험, 실패경험, 전담경험 등)을 들 수 있으며, 교사들은 좋은 체육수업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게임화나 게임의 변형, 자신만의 수업규칙 및 루틴 설정, 지도서의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좋은 수업을 실천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는 개인적인 운동능력 및 운동지식의 부족과 학생의 안전에 대한 고려를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a good physical education (PE) class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Interpretive phenomenology was employed as a research method.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 a voluntary basis. Data were collected via phenomenological interviews with the four teachers and an open-ended questionnaire with 20 questions sent by emai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ethod based on Smith, Flowers, and Larkin’s approach (2009). The four participants revealed their perceptions of a good PE class as follows: “class with enjoyment,” “directed toward students’ voluntary physical activities during and after class,” “class with all students’ participation,” and “class that attains the learning objectiv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lso indicated three factors that are considered less important: “class for developing creativity,” “class teaching basic movement skills,” and “class giving decision-making authority to students.” These perceptions were derived from their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PE, their personal education philosophy, and teaching experiences (observation, experience of failure, etc.). Their basic strategies for conducting a good PE class included gamification and rule change, setting up their own principles and class routines, and providing texts for study. Finally, the barrier to conducting a good PE class was, in their view, a lack of movement skills, limited knowledge regarding PE, and concerns regarding students’ safety. Sever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stud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영어 자료기반학습(Data-Driven Learning) 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 Effects of data-driven learning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주성재 p. 1-20

생성 AI(Generative AI)의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이슈와 윤리적 과제 = Hallucination issues and ethical challenges of generative AI : focusing on topics applicable to elementary AI ethics education : 초등 AI 윤리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주제를 중심으로 박형빈 p. 21-36

금융역량 구현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연구 = Directions for improv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realize financial competence : focusing on 2022 Social Studies Curriculum economic area achievement standards :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경제 영역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이성재, 김혜진 p. 37-54

초등학교 1학년 그림일기에서 글과 그림의 관계에 대한 인식과 복합양식 문식성 양상 분석 = An analysi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multimodal literacy in the first grade picture diary 이현진 p. 55-82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생태형 스포츠 실행 경험과 생태형 스포츠 교육의 정착을 위한 제언 =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practicing ecological sports and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ecological sports education 박상봉 p. 83-100

드론 활용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 dron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윤경환, 문성환 p. 101-117

초등교사의 좋은 체육수업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Phenomenological explo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PE class 나재권, 이영석 p. 119-136

인공지능 챗봇 활용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of elementary English speaking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임희정 p. 137-156

영어과 초등학교 최소성취기준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the minimal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조보경, 최종갑, 이삭 p. 157-173

초등학교 학생평가의 실태와 맞춤형 자율평가 활용에 관한 교사의 인식 =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valu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and their experience with the national customized self-assessment 이소라, 홍은홍 p. 175-189

미래 국어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양상 =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teachers on future Korean language classes 최선희, 김금내, 이관희 p. 191-214

ChatGPT의 한영 번역 도구로서의 정확성 분석 = Analysis of ChatGPT’s accuracy on Korean-English translation 윤여범 p. 215-231

'정서교육'으로서의 교과교육 = School subjects education as the education of emotion : a study on implications of Collingwood's theory of art : 콜링우드 예술이론의 관점 신춘호 p. 233-248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협력적 실행연구 =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convergence curriculum to strengthen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영석, 장용규, 윤여범, 이재승, 김동식 p. 249-270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linked programs to develop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in students 민병선, 백재연 p. 271-290

한국판 웩슬러 기초학습기능검사(K-WFA)의 타당도 = Validity of Korean Wechsler Fundamentals: Academic skills :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우람, 홍상황 p. 291-314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또래관계문제 간 관계에서 실행기능과 마음읽기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 Verification of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and mind rea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하문선 p. 315-334

지역사회 조직화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Qualitative study of the community organizing process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민관학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김용우 p. 335-353

초등 예비 교사의 수업화법에 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for teachers’ instructional communication : focusing on the second-year students of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teachers’ speech communication> course and practical experience in the field : 수도권 G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들의 <교사화법> 과목 수강 및 현장에서의 실천 경험을 중심으로 양수연 p. 355-380

학교장의 식물기르기에 대한 교육적 신념으로 촉발된 생태교육의 운영과정과 그 의미 = Process and meaning of ecological education triggered by the principal’s educational beliefs about plant growth 주은정, 임보라, 고홍규 p. 381-400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교사의 자녀교육 디자인 양상 연구 = A study on children’s education design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정수현, 김연구, 김두섭, 김보영, 이고은, 이동호, 이주원, 이진우, 공성원, 최영주 p. 40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