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1930년대 이태준의 문장 인식을 논의하기 위한 예비 작업으로 「글 짓는 법 ABC」 와 「문장강화」의 특징과 수록된 문범의 출전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이태준의 조선어 교육과 「글 짓는 법 ABC」의 문례 출전을 확인하였다. 그 동안 이태준과 조선어학회의 관계는 표준어 사정 작업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지만 사정 위원회 활동은 신문사 학예부장을 역임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글 짓는 법 ABC」의 문례는 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는데, 그 이유는 시가 개인마다 다른 감각을 가장 충실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3장에서는 『문장강화』에 인용된 문범과 동서양 문예 비평문의 출전을 확인하였다. 「글 짓는 법 ABC」와 대조적으로 『문장강화』의 문례는 소설과 기행문을 비롯한 산문 위주로 구성되었다. 문범의 출전은 각종 전집 및 선집에서 인용된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러나 이태준은 단행본에만 의존하지 않고 정기간행물에서도 작품을 적극적으로 인용하였다. 이처럼 문범의 출전을 확인하는 작업은 서지학적 의미만이 아니라 앞으로 이태준의 문장 인식을 종합적으로 해명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本稿は1930年代李泰俊の文章認識を論じるための予備作業として, 「文章の書き方ABC」と 「文章講話」の特徴と, 収録された文範の出典を分析した. 第2章では, 李泰俊の朝鮮語教育歴と「文章の書き方ABC」の文例の出典について確認した. 従来, 李泰俊と朝鮮語學會の関係は標準語査定作業を中心に論じられたが, 査定委員会の活動は新聞社の學藝部長を歴任したため可能であった. 「文章の書き方ABC」の文例は詩を中心に構成されているが、その理由は詩が個人ごとに異なる感覚を最も忠実に表現できるためであった。第3章では『文章講話』に引用された文範と東洋と西洋の文芸批評の出典を確認した.「文章の書き方ABC」とは対照的に、『文章講話』の文範は小説と紀行文をはじめとする散文 を軸に構成されていた。文範の出典はそれぞれ全集及び選集から引用された場合がしばしばみられた。しかし李泰俊は単行本にばかり依存せず、定期刊行物からも作品を積極的に引用した。このように文範の出典を確認する作業は, 書誌学的な意味ばかりではなく, 今後李泰俊の文章認識を総合的に解明する上でも大きく寄与するだろう.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어면순』과 『각수록』의 골계미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sexual funny stories in 『EoMyenSun』 and 『GakSuRok』 focusing on the different modes of humour 홍서희 p. 65-100

김일성의 책읽기 = Books read by Kim Il-sung : focusing on the reading experience shown in the memoir 『With the Century』 :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 나타난 독서 편력을 중심으로 정종현 p. 125-156

소월시의 형식에 내장된 시간 의식 연구 = A study of time consciousness in the work of Sowol Kim 고재봉 p. 157-181

근대 문학의 낭만과 미숙의 문제 = The problem of romance and inexperience in modern literature : targeting the adjective 'young' : 형용사 ‘어린’을 중심으로 장보미 p. 183-206

다매체 시대의 아동문화 콘텐츠 <칠칠단의 비밀> 연구 = Research on children's cultural content <Secret of the Chilchi[l]dan> in the multi-media era : focusing on the media transition of children's detective novels, children's radio dramas, and full-length animated feature films for theaters : 아동탐정소설, 어린이 라디오 드라마, 극장용 장편 만화영화의 매체변환을 중심으로 염희경 p. 277-308

'청소년 문화' 읽기의 윤리와 그 딜레마 = Ethics and dilemma of reading 'youth culture' : the discourse of "Youth Freedom" and youth writing in alternative culture in the 1990s : 1990년대 『또 하나의 문화』에 나타난 '청소년의 자유' 담론과 청소년의 글쓰기 김정은 p. 309-341

18세기 여성행장을 통해 본 여성서사의 특징 = Women's narrative seen through women's Heng'jang(行狀) in the 18th century 이승희 p. 101-123

한국독립당 광동지부 기관지 『韓聲』 연구 = 韓國獨立黨廣東支部機關報≪韓聲≫研究 박향란, 하동명 p. 207-231

원 복속기 국왕 國喪 시 외교의례의 전환과 이후 그것의 전유·존속 = The transformation of diplomatic rituals for the mourning a king during Yuan subjugation and their continuation through appropriation : 즉위와 책봉의 관계에 대한 이해 심화를 겸하여 최종석 p. 343-386

알타리(斡朶里)부 여진인 동청례(童淸禮)가문의 향화와 고증연구 = Research on the Tong Qingli family of the "Xianghua" Jurchen in the Joseon Dynasty 가우신 p. 387-411

인천시립박물관 소장 鼎形香爐와 獸形大砲 연구 = A study on the ding-shaped incense burners and beast-shaped cannon hous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이용진 p. 413-435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중국 조선족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현황과 창조적 계승 = 文化生态视野下朝鲜族非物质文化遗的传承现状与创新发展研究 박경화 p. 437-460

일본의 한국 근현대 문학 연구의 지평과 역사 = 日本における韓国近現代文学研究の地平と歴史 와타나베 나오키 p. 9-36

1990년대 이후 문학/문화 연구와 그 시차 =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since the 1990s and its parallax : origins theory, cultural studies, and aesthetic modernity : 기원론, 문화론적 연구, 미적 근대성론을 중심으로 이철호 p. 463-485

이태준 『문장강화』(1940) 연구 = 李泰俊『文章講話』(1940)研究 : 文範の出典を中心として : 문범의 출전을 중심으로 야나가와 요스케 p. 233-275

연변 지역 조선어의 어휘변이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vocabulary variations of Korean language in Yanbian 오선화, 한성우 p. 3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