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2023년 치러진 삼척시 미로면 미로단오제의 행사 개요 및 절차, 의의를 살피고, 그것이 지니는 문화재적 가치에 대해 검토한 글이다.

2023년 미로단오제는 기존에 하루 일정으로 열렸던 것에서 더 나아가 이틀 일정으로 규모를 확장해 치러졌다. 이는 미로단오제가 지역의 대표 축제로 자리 잡기를 희망하는 지역민들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주무(主巫) 김종식 무당을 비롯하여 총 11명의 무녀(巫女)와 악사(樂士)의 주도하에 진행되었으며, 본 행사 이외에도 민속놀이, 체험 부스, 가요제 등의 부대 행사를 마련하여 마을 주민 및 관람객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처럼 2023년의 미로단오제는 기존에 비해 규모와 내용 면에서 한층 풍성해진 면모를 보였지만, 한편으로 단오굿의 내용 및 절차에 대한 안내, 단오굿과 부대 행사와의 조화, 진행상의 미비점 등 몇몇 지점에서 보완이 필요한 부분 또한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미로단오제가 지니는 문화재적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미로단오제는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동해 지역의 주요 무형문화유산으로서 그 의미가 작지 않다. 그런 만큼 이를 지역 행사 차원에만 머물러 둘 것이 아니라, 한국을 대표하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 공인을 받도록 하는 작업 또한 수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기반 마련 과정으로서, 현행 무형문화재 정책과의 정합성 고찰, 오금잠제 및 지역 민속 행사와의 관계성 탐색, 미로단오제에 대한 아카이브 작업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계의 인간화와 인간의 가능성 = The humanization of machines and the potential of humanity : focusing on the novel Bicentennial Man and the movie <Bicentennial Man> : 소설 『바이센테니얼 맨』과 영화 <바이센테니얼 맨>을 중심으로 강성애 p. 7-29

로봇이라는 타자와 휴머니즘의 재편 = Robots as 'the other' and reconfiguration of humanism : re-reading Isaac Asimov's novel Robots and Empire(1985) :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과 제국』(1985) 다시 읽기 장준영 p. 31-59

포스트휴먼 담론으로 다시 읽는 『아이, 로봇』의 제 문제 = The various problems in I, Robot re-read as a posthuman discourse 황선희 p. 61-88

다가온 포스트 휴먼의 시대, 아이작 아시모프 다시 읽기 = The coming post-human era, rereading Isaac Asimov : focusing on the robot city series The Caves of Steel, The Naked Sun, and The Robots of Dawn : 로봇 시티 시리즈 『강철 도시』, 『벌거벗은 태양』, 『열린 세계』를 중심으로 한승우 p. 89-124

삼척 미로단오제의 전승 현황 및 연구사 = Current status and research history of Samcheok's "Miro Danoje" 신성환, 유춘동 p. 127-145

삼척 미로단오제의 현재와 그 문화재적 가치 = The present state and cultural property value of "Miro Danoje" in Samcheok 최윤, 정용건 p. 147-179

삼척 미로단오제의 보존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Miro Danoje 김도현 p. 181-208

강원도 홍천지역 언어문화 연구 = A study on the linguistic culture of Hongcheon area in Gangwon-do 최홍열 p. 211-244

강진의 차문화 전통 및 콘텐츠 개발 연구 = A study on tea culture traditions and development of contents in Gangjin : with regard to Dasan Jeong Yakyong's time of exile : 다산 정약용의 유배시기를 중심으로 김성철, 강민구 p. 245-272

‘의림지’를 둘러싼 문학지리학적 접근과 로컬리티의 발굴 = The literary geographic approach and exploration of locality around 'Uirimji' : combined with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geography : 고전문학과 지리학의 학제간 연구를 겸하여 하윤섭, 김소라 p. 273-303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대상 문화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al education plan for foreigners using local culture content : focusing on Chuncheon Dakgalbi and Makguksu festival : 춘천 닭갈비 막국수 축제를 중심으로 김보라 p. 305-327

정도전의 신멸론 연구 = A study on Jeong Do-jeon's "Shen-mie Lun"(神滅論) : focusing on the metaphor of water and fire : 물과 불의 비유를 중심으로 정두호 p. 329-346

목판본 『국조시산(國朝詩刪)』의 재편 양상을 통해 본 한국 한시선집의 존재 방식 = A study on expectations and ways of existing in Korean Anthology of Chinese Poetry : focusing on the reorganization aspect of the woodblock book Gukjosisan (『國朝詩刪』) 임미정 p. 347-384

여명의 눈동자들 = The eyes of dawn : the translation on era and the crossing of the boundarie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rrative : 일본군 ‘위안부’ 서사의 시대 번역과 월경 장수희 p. 385-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