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23년 6월까지의 국내 학술논문 등재지에 게재된 51편의 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북한음악정치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의 하나인 스코핑 고찰(Scoping Review)을 사용하여 북한음악정치 관련 연구동향을 연도 및 분야,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그리고 키워드분석(워드클라우드)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의의와 함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음악정치 관련 연구동향을 그래프와 표, 그림으로 제시함으로써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다양한 연구방법 적용 및 대상적용, 서양음악사적 관점으로의 확장에 대한 후속연구의 가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North Korean music politics as published in 51 KCI (Korean Citation Index) journals from 2005 to 2023 using the Scoping Review method. Scoping Review is used to allow fo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research such as year, academic fields, topics, methods, subjects, and keyword analysis(word cloud). Utilizing big data analysis methods for processing and interpreting the amount of data from 51 KCI journals. The results presented using graphs, tables, and pictures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North Korean music politics. It is crucial for further exploration and the possibility of follow-up studies,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various research methods, subject application, and expansion to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with different perspectiv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놀이정신으로서의 연극놀이 연구 = Drama as a play-spirit : the uniting nature of play and drama : 놀이와 연극놀이의 일원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수연 p. 5-27

전통공연예술의 실감기술 융합에 대한 연구 = Research on the fusion of immersive content i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with a focus on content produc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국립국악원 제작 콘텐츠를 중심으로 신혜주 p. 29-50

<무산향>의 핵심 모티브와 함축적 의미 연구 = Core motifs and connotations in Musanhyang 박태규, 이정인, 신태영 p. 51-76

진은숙 음악에서 여성 목소리의 표현 방식과 의미 = The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female voices in the vocal works of Unsuk Chin 이희경 p. 77-98

스코핑 고찰을 활용한 2005~2023년 북한음악정치 연구동향 분석 = Scoping review on music politics of North Korea : based on KCI journals(2005-2023) : 등재학술지 중심으로 남지연 p. 99-126

오리엔탈리즘 뒤집기 = Inverting Orientalism in Mozart’s Die Entführung aus dem Serail : 모차르트의 <궁전탈출(Die Entführung aus dem Serail)>을 중심으로 우혜언 p. 127-147

K-드라마 속 클래식 음악의 문화적 함의 = Cultural implications of classical music in K-drama : focusing on Vincenzo : 드라마 <빈센조>를 중심으로 이미배 p. 149-170

김동진의 가곡 <진달래꽃>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이중성 = Musical duality in Dong Jin Kim’s Azalea Flower 안소영, 유승공 p. 171-195

‘미시권력의 어포던스’에 따른 움직임과 감정의 수행적 변환 = Performative transformation of movements and emotions by affordances of micro power 최정근 p. 197-216

<301·302>(1995)와 <아워 바디>(2019) 속 탈정상적 욕망과 함께 있음의 애도로 저항하는 여성(들) = Women’s resistance through postnormal desire and withness mourning in 301·302(1995) and Our Body(2019) 박소연 p. 217-238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조형 예술에서 ‘동양’의 의미 고찰 = Understanding the ‘Orient’ in the plastic art of Koryoins in Uzbekistan : a study of the works of Lee Alexandre, Pak Vladimir, and Wang Veronica : 리 알렉산드르, 박 블라디미르, 왕 베로니카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선하 p. 239-261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시각예술 기반 시설 지원 방안 연구 = Supporting visual arts infrastructure as a response to regional extinction 고용수 p. 263-287

국내 미술관의 미디어아트 컬렉션 활용 방안 연구 = The use of media art collections in art museums in Korea 송초롱 p. 289-312

네덜란드 해부학 극장과 외과 의사 단체초상화의 상관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theaters and group portraits of surgeons in seventeenth century Netherlands 김소희 p. 313-336

로보틱 아트 교보재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obotic art educational materials 이도경, 윤진영, 이채원 p. 337-354

정신보건학 관점에서 예술분야의 창의성과 양극성장애에 대한 고찰 =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in art and bipolar disorder : a public mental health perspective for artists : 예술 직업군을 대상으로 서주연 p. 355-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