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산림의 역사적, 학술적, 경관적, 정서적 가치를 지닌 문화적 대상을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2022년 말 기준 87개가 지정되어 있다. 현재 보전적 관점에서 지정·관리되고 있는 산림문화자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점(點) 단위로 분포되어 개별 관리되고 있는 산림문화자산을 산림환경과의 면(面), 선(線) 단위의 관계를 고려한 지방별 문화권역 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통적 문화권역, 백두대간 산맥 위치와 지방산림청 관할권역, 국가산림문화자산 위치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각 권역을 중첩 분석하여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방문화권역을 도출하였다. 분석은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위치와 각 권역을 조합하고 역사지리학, 지방문화학, 문화콘텐츠학 연구 접근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3가지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통적 지방문화권·국가산림문화자산권역‘은 기반 시설, 도로교통 발전 등으로 변화된 현실적인 문화권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백두대간 산맥·국가산림문화자산권역’은 상호 연계성이 높아 풍부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나 권역 설정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방산림청 관할영역·국가산림문화자산권역’은 관리주체 명확성, 산림식생, 현실적 기반 설정으로 인해 정책적, 문화적 활용성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국가산림문화자산의 관리 및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관리주체가 명확하고 식생 환경을 중심으로 설정된 지방산림청 관할권역을 새로운 ‘산림문화권역’으로 설정한 통합 관리를 제안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섬을 이루는 선들 = The lines that make up an island : the history of the "Seom" field in Paju and multiple boundaries : 파주 임진강변 섬 벌판의 역사와 중층적 경계들 이수유 p. 7-38

선산 밀양박씨 龍巖公派의 형성과 顯祖 朴雲의 현양 사업 = Establishment of Yongamgongpa of Seonsan Milyang Park clan and exaltation project of great ancestor Park Woon 채광수 p. 39-71

통신사의 수륙노정(水陸路程)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mphibious route of the Tongsinsa : focused on Reply and Prisoner Repatriation Envoy in 1607 : 1607년 회답겸쇄환사를 중심으로 우승하 p. 73-101

국가산림문화자산 활용을 위한 지방문화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local cultural areas for the utilizing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김태권, 김성학, 채진해 p. 103-142

16세기 士禍와 忠淸左道 士林動向 = Sahwas and the trends of Chungcheongjwado Sarims in the 16th century 고수연 p. 143-171

‘작물의 으뜸’, 조[粟]의 재배 역사와 경작과정 = The history and cultivation process of millet, 'the best of the crop' : focusing on the case of Gangwon-do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김세건 p. 173-218

한국의 문화사 연구 동향과 문화사 교육의 과제 = Trends in cultural history in Korea and tasks of cultural history education 송호정 p. 219-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