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교육학이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길을 모색하게 되었음을 독일의 교육학자 클라프키(Klafki)가 제시한 비판-구성적 교육학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였다. 클라프키는 독일의 전통적 교육학의 기반인 정신과학적 교육학에서 출발하여 실증적 경험 연구와 비판이론의 접목을 통해 자신만의 비판-구성적 교육학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그의 교육학은 비판이론을 만나 사회, 정치적 문제를 전면에 내세우게 되었고, 지구적(global) 문제를 인식하면서 ‘시대적 핵심 문제’로 사유를 넓히게 되었다. 클라프키는 시대적 상황에 대한 진단을 통해 환경, 불평등, 평화, 정보화 등의 핵심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러한 주제들을 교수학적으로 전환하여 ‘문제 수업’을 강조하였다. 문제 수업은 다가올 세대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해 나가면서도 공동체의 삶에 관심을 갖고 사회, 정치, 문화적으로 적극 참여하는 존재가 되도록 이끌어가는 데 의의가 있다. 핵심 문제가 시대와 사회의 변화상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문제를 얼마든지 새롭게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유의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 지구적이면서도 동시에 국내에서도 사회와 교육의 긴급한 과제로 떠오른 기후 위기와 생성형 인공지능 문제 등을 범례적 사례로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류세의 교육(철학)을 위해 마르크스를 불러오기 = Calling on Marx for the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anthropocene 곽태진 p. 1-22

위당 정인보의 심학(心學)적 역사의식과 교육적 시사점 = Widang Jeong In-bo's historical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mind stud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focusing on "Yangmyeonghakyeonron" : 『양명학연론(陽明學演論)』을 중심으로 김은숙 p. 23-46

교육과 정치에 대한 Arendt의 ‘구분’, 그 긴장과 화해가능성 = Hannah Arendt's distinction between education and politics and its tension and potential reconciliation : responsibility for the common world : 공통세계를 위한 ‘책임’ 조나영 p. 167-191

G. Deleuze와 F. Guattari의 분열분석(Schizoanalysis)이 미래교육 논의에 주는 함의 탐색 =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Deleuze and Guattari's schizoanalysis in the discussion of future education 박지애 p. 47-72

클라프키(Klafki)의 비판-구성적 교육학과 시대적 핵심 문제의 재음미 = Revisiting Klafki's critical-constructive pedagogy and the key issues of the times 손승남 p. 73-94

수신의 관점에서 본 조선 전기 문인들의 금(琴) 연주 = Playing the Geum(琴)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t the point of self-cultivation(修身) 염명경 p. 95-114

이성의 교육자로서의 상상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agination as an educator for reason : centered on Husserl and Egan's concept of imagination : 후설과 이건의 상상력 개념을 중심으로 윤진욱, 김회용 p. 115-140

불교의 인간관이 갖는 교육적 함의와 교육방안 =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plans of Buddhism's view of humanity : centered on the combination of the classical novel "Sodaeseongjeon" : 고전소설 「소대성전」과의 결합을 중심으로 정보배 p. 141-165

인류세 시대의 실존과 환경교육 = Human existen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anthropocene : implications of Gabriel's new realism for ecological citizenship :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이 생태 시민성에 주는 시사점 최승현 p. 193-211

일제강점기 조선식 및 학동식(學童食) 조사 연구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dietary survey of Koreans and school studen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medical school researchers : 의학대학 연구진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현정 p. 21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