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박옥남과 금희는 조선족 3세대에 속하는 작가이다. 박옥남은 2세대와 3세대 사이, 금희는 3세대와 4세대의 경계선에 있으면서 두 작가 모두 조선족의 이주와 정체성 문제를 주제로 작품을 창작했다. 이 글에서는 박옥남과 금희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고향과 가족, 집을 중심으로 두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조선족의 ‘이주’를 비교 분석하였다.
박옥남 작품에서 ‘고향’은 개혁개방이 시작되고 조선족마을에 자본주의가 도입되면서 조선족들이 한국과 도시로 이주하기 위해 탈향을 하는 연쇄 이주의 양상을 보인다. 이에 비해서 금희 작품에서는 한국에 이주했다가 고향으로 귀환하는 귀환 이주가 나타나며 돌아온 고향은 낭만성을 상징하는 장소의 의미를 지닌다. 다음으로 박옥남의 작품에 나타난 조선족의 통혼의식 변화는 조선족이 한족문화에 동화되면서 조선족으로서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와 달리 금희 작품에서 ‘가족’은 불우한 가정 환경이나 취업 문제로 중국 관내와 도시로 이주하는 분거가족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박옥남 작품에 나타난 이주민의 임시 거처와 금희 작품에 나타난 인물들의 ‘정체성’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박옥남 작품에 나타난 이주가 조선족 마을공동체의 해체과정으로 나타난다면 금희 작품에 나타난 이주는 농촌과 도시 공간으로 대비되며, 인물들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의미로 나타난다.
Park Ok-nam and Geum-hee are writers belonging to the third generation of the Joseonjok. Park Ok-nam wa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and Geum Hee was on the borderlin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Both artists created works with the theme of migration and identity issues of Joseonjok. In this articl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migration’ of Joseonjok in the works of Park Ok-nam and Geum-hee, focusing on the hometown, family, and home.
In Park Ok-nam’s work, ‘hometown’ shows the pattern of chain migration, to move to Korea and capitalism was introduced to Joseonjok villages. In contrast, in Geumhee's work, there is a return migration of people moving to Korea and the hometown they return to has the meaning of a place symbolizing romanticism. Next, the change in the intermarriage consciousness of Joseonjok in Park Ok-nam's work show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identity of the Joseonjok becomes ambiguous as Joseonjok assimilate into the Han Chinese culture. In contrast, ‘family’ in Geumhee’s works appears in the form of separated families migrating to Chinese jurisdictions and cities due to unfavorable family circumstances or employment problems. Lastly, this article examines the temporary residence of immigrants in Park Ok-nam’s works and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s in Geum-hee’s works. If the migration shown in Park Ok-nam's works appears as a process of disintegration of Joseonjok village community, the migration shown in Geum-hee's works is contrasted between rural and urban spaces, and appears as a symbol of the characters' identitie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