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사이버비행이 학교급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범죄학이론 요인(부모애착,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학대, 우울, 분노, 또래애착) 뿐만 아니라 사이버환경특성을 반영한 요인(인터넷 중독, 모바일기기 사용시간, 부정적 사이버자아)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청소년 학교급별로 사이버비행 영향요인이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중고등학교 청소년 2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터넷 중독만이 사이버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사이버비행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집단을 중학교 졸업미만 집단과 중학교 졸업이상 집단으로 나누어서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학교 졸업미만 집단에서는 부정적 사이버자아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중학교 졸업이상에서는 인터넷 중독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사이버비행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Non-contact daily life that emerged due to COVID-19 intensified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the internet,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yber delinquency. According to recent survey on cyber delinquency, despit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ffense rate of cyber delinquency by school level, empirical research on this issue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riminological factors and cyber environmental factors on cyber delinquency,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orrelates of cyber delinquency across school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data of 29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ly internet addi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yber delinquency. In cas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negative digital-self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yber delinquency, while internet addiction affected cyber delinquency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사상 증거수집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법의 적용요건 = The requirement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apply to the collection of evidence in criminal investigation 김형규 p. 5-37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일선 경찰관의 증거기반 경찰활동(EBP)과 경험적 연구에 대한 수용성 및 거부감 유형 분류 및 영향 요인 검증 =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police officer receptivity and resistance to evidence-based polic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determinants 박은서, 김승현 p. 39-62

드론 테러의 특성과 대응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untermeasures of drone terrorism : focusing on GTD drone terrorism data : GTD 드론 테러 데이터를 중심으로 김한수, 이병석 p. 63-85

AHP 기법을 활용한 탐정자격 제도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stituionalization of a private investigator qualification using AHP 우상진 p. 87-110

경찰 반부패·청렴 정책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Korean police anti-corruption and integrity policy : focusing on the ecological systems perspective : 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권정만 p. 111-133

경찰의 치안드론 역량함양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 An analysis of learner educational needs for designing a police security drone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 focusing on comparison IPA and Borich needs analysis :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김덕영, 노성훈, 최문영 p. 153-183

압타머를 이용한 새로운 혈흔 탐지 방법의 개발 = Development of a novel detection method for the analysis of bloodstain using an aptamer 박미진, 박명진, 박현철, 김주영 p. 135-152

치매 노인 약탈 범죄의 현황과 대책 = Current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looting crim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노연상 p. 185-209

연하물 강제배출의 허용성 = Die Zulässigkeit der zwangweiser Verabreichung von Brechmitteln : Über die deutschen Urteile und Diskussionen : 독일의 판결 및 논의를 중심으로 김호 p. 299-330

남북통일 후 과거청산을 위한 경찰의 역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oliceʼs role for past liquidation after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김성훈 p. 275-297

청소년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orrelates of cyber delinquency : school level : 학교급별 비교를 중심으로 최주희, 이다솜, 조영오 p. 247-274

한국 경찰공무원 대상 자살 태도 측정도구(ATTS)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attitudes toward suicide (ATTS) for Korean police officers : focused on ESEM and Rasch models : ESEM과 Rasch 모형을 중심으로 박은수, 서종한 p. 21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