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함께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독립했다. 아울러 한반도 침탈의 첫 희생물이었던 동해상의 작은 섬 독도를 되찾아 굳건히 지켜왔다. 그러나 일본은 독도 영유권을 지속적으로 주장했으며, 20세기 초반에는 독도 도발을 감행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리 분야에서 독도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고, 나아가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지리 분야에서는 197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연구 성과가 빈약했지만, 21세기에 들어와서는 일본의 독도 도발로 자연지리, 인문지리, 지리교육 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렇지만 지리 분야에서 연구 성과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향후 자연지리는 토양, 식생, 기후 등에, 인문지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관광, 주민의 삶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리교육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중심의 비판적 연구에서 벗어나 글로벌 관점에서 독도 수업 실천의 사례 연구가 요구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882년 이규원의 울릉도 검찰과정과 이주정책 = Lee Gyuwon's Ulleungdo prosecution process and immigration policy in 1882 : 울릉도 출발과 서울 도착을 중심으로 김영수 p. 7-43
「太政官指令」의 부속문서에 관한 검토 = Re-examination on the attached documents of Dajokan-Shirei 송휘영 p. 45-68

1905년 일본의 독도침탈과 일제식민주의의 국제법적 법리 검토 = A review of international legal principles on Japan's invasion of Dokdo in 1905 and Japanese colonialism 도시환 p. 69-105
독도의 영토주권 평화선 존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istence of a peace line of territorial sovereignty on Dokdo 김명기, 김도은 p. 107-142
문화권력으로서의 독도 = Dokdo as cultural power : focusing on trends and the field in academia, media, and education : 학계·언론계·교육계의 동향과 자장을 중심으로 조수일 p. 143-173

지리 분야에 있어서 독도연구의 동향 = Trends of Dokdo research in the field of geography 심정보 p. 175-201

한·일 독도 교육과 평화 인식 = Korea-Japanes Dokdo education and peace awareness : focusing on Korean curriculum and Japanese learning guidance guidelines 도연경 p. 203-227
‘독도교육’ 관련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studies related to 'Dokdo education' 최보영 p. 229-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