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만법전(萬法典)』은 1986년에 처음으로 간행되었고, 1994년과 1995년에도 재간행되어 정체를 알기가 어려운 신비한 내용을 지닌 수련서 혹은 불교 계통의 서적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이제『만법전』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증산교단(甑山敎壇)의 한 파인 서백일(徐白一)의 용화교(龍華敎)에서 간행한 책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만법전』에 실린 여러 가사는 ‘증산교가사’로 규정할 수 있다.
『만법전』에 실린 가사에는 천지공사(天地公事), 의통(醫統), 도수(度數), 서신(西神), 천존(天尊), 지존(地尊), 인존(人尊), 치천하오십년(治天下五十年), 해원시대(解冤時代) 등 증산교단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용어들이 많이 언급되었고, 증산의 탄생장소, 탄생 시점, 성씨, 생존 기간 등이 읊어져 있다. 그리고 증산이 했다고 전하는 말을 그대로 인용하여 노래하였고, 오선위기(五仙圍碁), 상씨름, 생장염장(生長斂藏), 언청신(言聽神), 기초동량(基礎棟樑), 해인(海印), 상계신(上計神) 등의 증산 고유의 용어에 대해서도 읊고 있다. 특히 증산이 제자들에게 외워준 한시(漢詩)의 일부 구절이 그대로 인용되고 있다.
한편『만법전』에는 불교적 구원관도 확인이 가능한데, 특히 미륵신앙(彌勒信仰)을 중점적으로 노래하였다. 그런데『만법전』은 전통적인 불교의 미륵신앙과는 다르게 미륵불의 기운과 능력을 지닌 특정한 인물의 탄생을 예고하고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미륵세존(彌勒世尊)과 용화회상(龍華會上)을 강조하면서도 전북에 있는 모악산(母岳山) 금산사(金山寺)를 특별하게 읊고 있어서 금산사를 중심으로 한 증산이 바로 미륵불로 오셨다는 증산교인들의 믿음을 긍정적으로 노래한다. 나아가『만법전』에는 용화교(龍華敎)의 교주인 서백일(徐白一)의 탄생일, 탄생장소, 수감년도, 출옥 시기, 호(號) 등이 언급되어 있어서 이미 세상을 떠난 증산을 대신해서 이 세상에 나온 구원의 절대자가 바로 서백일이라고 은근히 주장하고 있다.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was first published in 1986 and then reprinted in 1994 and 1995. It gained widespread recognition as a mysterious text or a Buddhist document containing enigmatic content that deemed difficult to comprehe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it was revealed that the book was published by the Dragon Flower Order, a Jeungsanist religion founded by Seo Baek-Il (徐白一). Therefore, the various texts included in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can be classified as 'Songs of Jeungsanism' (Jeungsan-gyo Gasa 甑山敎歌辭).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often mention terms unique to the Jeungsanist orders, such as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presiding over cures' (醫統), 'Degree Number (度數), 'the West God’ (西神), 'the nobility of heaven' (天尊), 'the nobility of earth' (地尊), 'the nobility of humanity' (人尊), 'ruling the world for 50 years’ (治天下五十年), and ‘the era of Resolving Grievances (解冤時代).’ It also discusses the birthplace and birth date of Kang Jeungsan, his family name, and the duration of his existence. The contents directly quote the words spoken by Jeungsan and incorporate them into songs. They also mention unique Jeungsan terms such as 'Five Immortals Playing Baduk (五仙圍碁), 'open-weight wresting match,' ‘birth, growth, harvest, and storage’ (生長斂藏), ‘the god who listens to words’ (言聽神), 'pillar of foundation’ (基礎棟樑),’ 'Ocean Seal’ (海印), and 'the higher gods’ (上計神). It is also notable that some verses of Chinese poetry that Jeungsan taught his disciples are directly quoted in this scripture.
Furthermore, the scripture shows traces of Buddhist salvational beliefs; particularly those that emphasize faith in Maitreya Bodhisattva (彌勒信仰). However,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differs from traditional Buddhist beliefs in that it anticipates and emphasizes the birth of a specific individual endowed with the power and abilities of Maitreya Buddha. While emphasizing Maitreya Buddha (彌勒世尊) and the Dragon Flower Gathering (龍華會上), the scripture also specifically mentions Geumsan-sa Temple (金山寺) located on Mount Moak (母岳山) in North Jeolla Province, and these details are sung about in a special manner. This positive portrayal serves to affirm the belief of followers that Jeungsan, centered around Geumsan-sa Temple, was an incarnation of Maitreya Buddha. Moreover,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subtly asserts that Seo Baek-il, the leader of the Dragon Flower Order, who is mentioned in the scripture, is the absolute savior who has come to this world in place of Jeungsan. In support of this teaching, his birth date, birthplace, years of imprisonment, release date, and honorific name (號) are all recorded in precise detail.*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