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일본의 국기(国技)로 불리는 스모의 사회문화적 의미 및 스모 경기에 내재된 신체성의 함의 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스모는 엄격한 전통성과 고유성을 가진 일본 전통문화의 한 장르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기라는 특별한 권위가 부여된 스포츠 종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스모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그 성격은 시대 상황과 흐름에 따라 거듭 변용되어 왔고, ‘국기’라는 지위조차도 일종의 ‘만들어진 전통’의 산물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스모는 오랜 전쟁과 전후를 관통하는 가운데 정치적으로나 이념적으로나 극적인 변화를 마주하게 된다. 그것은 전시 하의 병사들을 ‘위안’하고 그들의 ‘오락’을 위해 강압적이고 조직적으로 동원되는 신체이기도 했고, 또 패전 후에는 천황과의 밀접성으로 말미암아 존폐 위기를 겪으면서도 미군의 ‘위안’과 ‘유흥’을 위해 기꺼이 헌신하는 방식으로 존재감을 확보하려하기도 했다. 문제는 스모 관람이라는 것에 내장된 정치적 의미, 혹은 사회문화적 표상성에 있다. 사실 스포츠 관람은 그것 자체로 어떤 특정한 문맥이나 상황에 포섭되어 간다는 것을 말한다. 어떤 특정 선수의 신체 운동을 본다는 것은 동시에 어떤 특정한 이야기를 (재)생산하는 과정이며, 그것은 또한 어떤 특정 선수의 표상이나 신체표상을 통해 차이와 동일성, 타자와 자기를 구축하는 과정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스포츠 관전은 항상 배제와 포섭을 동반하기 마련이다. 스모의 경우는 스모 선수의 동물적 육체성을 전시하면서 미국이 구성한 타자(일본) 담론을 강화하는 장을 형성하는 한편, 그와 동시에 패전 일본이 점령군의 위안을 위해 스스로의 신체를 봉사시키는 굴복과 타협의 장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스모는 단순히 하나의 스포츠 장르로 존립했다기보다는 그 자체로 국가적 이념성과 정치성을 체현하고 있었고 그러한 만큼 시대의 요청에 따라 많은 변용과 변천을 거듭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모 및 스모 경기에 착종하는 시대 상황이나 문화 정치를 면밀하게 살피고, 이를 통해 스모가 구축한 신체 담론 및 사회문화적 의미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새로움의 전율 = The shudder of the new : a study on Adorno's theory of modern art : 아도르노의 현대예술이론 연구 전혜림 p. 1-24

백석의 시어 ‘이야기’의 공기어 분석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o-occurrence words and co-occurrence network of Baek Seok's poetic expression 'Yiyagi' : the corpus analysis of modern poetry. 3 : 현대시 코퍼스 연구 방법론. 3 이상숙 p. 25-59

월남지식인의 반공이데올로기 수용 및 대응양상의 일고찰 = A study on the acceptance and response to anti-communist ideology of the intellectual from North Korea : focused on the novel The Descendants of Cain and the film <The Descendants of Cain> :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와 유현목의 〈카인의 후예〉를 중심으로 김경숙 p. 61-88
‘위안’하는 신체와 일본 스모(相撲) = "Comforting body" and Japanese sumo : a sumo wrestler's body and World War Ⅱ : 전전과 전후를 관통하는 스모 선수의 몸 조정민 p. 89-115

언어처리 촉진 효과에 따른 시선 처리양상 = Eye-tracking approach to facilitation effects : focusing on Korean dative structure : 한국어 여격 구문을 중심으로 박분주, 이지영 p. 117-142
이중 타동사 구문의 (비)대칭성 = (A)symmetry in ditransitive construction 이경미 p. 143-165

동시대 수용자의 정동(affect)을 읽는 대중예술 연구방법론 = Popular art research methodology for reading affect of contemporary spectator : Cinderella Did Not Exist written by Lee, Young-me : 이영미 著 『신데렐라는 없었다』(서해문집, 2022) 정혜경 p. 217-243
한국어 교육에서 유의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alyzing trends in synonym education research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남성종 p. 167-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