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해외 원조는 식량생산 안전망 프로그램과 같은 개입을 통해 취약 계층을 지원하고 빈곤을 줄이는 사업으로 에티오피아의 식량 안보 노력에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식량 안보에 있어 해외 원조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농촌 지역사회의 생산 안전망 프로그램(PSNP)의 효과와 식량 안보에 대한 효율성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에는 사업에 참여한580가족이 선정되었으며, 조사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 포커스 그룹 및 주요 참여자 인터뷰와 같은 추가 방법을 결합하여 진행하였다.
PSNP의 효율성은 가구주의 연령, 교육 수준, 충격 발생 여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모니터링 및 평가의 부재, 낮은 지급액, 수혜자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PSNP 실행이 방해를 받고 있다.
PSNP의 긍정적인 역할인 저축 및 자산 축적 문화, 자산 구축을 위한 다양한 생계 전략에 수혜 가구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건설된 지역사회 인프라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상 선정의 객관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새로 승인된 사회 보호 정책을 동기화하고 PSNP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영향을 위해서 정책 입안자와 개발 실무자는 농촌 생활 개선을 위한 탄력성 측정에 참여할 것을 제안한다.
Foreign aid is crucial to Ethiopia's food security efforts, supporting vulnerable populations and reducing poverty through interventions like the Productive Safety Net Program.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on food security. It focuses on the efficacy of productive safety net programs (PSNPs) in rural communities as well as food insecurity. The study involved the selection of 580 families. The tool was intended to provide questionnaires and combine additional methods such as focus group discussion and key informant interviews.
PSNP's effectiveness was considerably impacted by the householder's age and education and the occurrence of shocks. The absence of monitoring and assessment, low payments and insufficient recipient knowledge hindered the practice of PSNP. Enhanced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the locally constructed community development infrastructures, to ensure that the positive role of the PSNP, the culture of savings and asset accumulation, participation of beneficiary households in diversified livelihood strategies to build assets, target and minimize inaccurate inclusion and exclusion and management.
In order to synchronize newly approves social protection policy and to aid PSNP program harmonization and a greater impact on households, policymakers and development practitioners recommended to involve in resilience measurement to improve rural livelihood.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The)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fund program for reducing poverty in Indonesia's rural areas = 빈곤 해소를 위한 마을 기금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 Naitio Ferdinandus, Sang-Chul Park | p. 1-40 |
|
|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on food security = 식량 안보에 대한 해외 원조의 효과 : 에티오피아 S.N.N.P.R 지역의 생산 안전망 프로그램(PSNP) 사례 : the case of productive safety net program (PSNP) in silt’e zone (S.N.N.P.R) Ethiopia | Shifa Shamil Hamza, Misook Lee | p. 41-75 |
|
|
Harvesting prosperity = 수확되는 번영 : 방글라데시의 고용 창출과 농촌 개발을 위한 농촌 관광 모색의 상황 분석 : a situational analysis of exploring rural tourism for employment generation and rural advancement in Bangladesh | Junaed Rahim | p. 77-102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