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입체주의와 다다이즘에 뿌리를 둔 콜라주 기법의 본질을 우연한 발견, 이질적인 요소의 병치, 파편들의 조립을 통한 새로운 구성의 창조에서 찾고, 콜라주 미학의 담론 안에서 아녜스 바르다(A. Varda)의 영화 세계를 탐구한다. 누벨바그의 선구자인 바르다의 독특한 영화적 형식과 실험적 여정은 작가가 수집한 다양한 이미지 질료들을 연쇄적으로 엮어내는 콜라주 기법을 통해 표현된다. 감독의 사적 영화사와 지난 삶을 서술하는 두 편의 다큐멘터리 〈아녜스 바르다의 해변(Les Plages d'Agnès)〉(2008)과 〈아녜스가 말하는 바르다(Varda by Agnès)〉(2019)는 바르다의 영화 콜라주가 의미를 창출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다. 회화적 콜라주에서 영감을 얻은 바르다의 콜라주 전략은 감독의 연쇄적 연상을 통해 수집된 질료들의 회화적 병치에 있다. 분석을 통해 바르다의 콜라주 기법이 서로 다른 시공간적 맥락에서 돌출한 이미지들의 병치를 통해 시간을 중첩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그리고 다가올 미래의 시간을 중층화하는 콜라주 공간을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팬 행동주의를 재회집하기 = Reassembling fan activism : fandom identity as material assemblage and strategies of identity maintenance : 물질적 배치로서의 팬덤 정체성과 정체성 유지의 전략들 이지영, 안희제 p. 7-44

영화 <작은 연못>이 재현하는 노근리 사건과 한국 전쟁의 대중 기억 구성 = The Nogeun-ri incident represented by the film <A Little Pond> and the construction of popular memory of the Korean War 태지호 p. 45-76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서사성 재고(再考) = Rethinking the narrative of transmedia contents 서성은 p. 77-105

문화정책의 ‘지연된 민주화’ = The delayed democratization of cultural policy : focusing on the politics surrounding the independe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abolition of censorship : 문화부의 독립과 검열 폐지의 정치학을 중심으로 박소현 p. 107-168

다문화 이주민의 디지털 격차 진단과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divide between immigrants and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North Korean refugees and marriage : 북한이탈주민·결혼이주민과 일반 국민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조경재, 황용석 p. 169-209

로맨스 드라마 <킹더랜드> 스토리텔링 연구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of the romance drama <King the Land> : focusing on the variations in implementation of clichés and 2030 generation code : 클리셰 구현의 변주와 2030세대 코드 중심 유재영 p. 211-243

아녜스 바르다의 ‘자유연상 콜라주’ 기법 분석 = Analysis of Agnès Varda’s ‘free associative collage’ technique 최민정, 이주은 p. 245-272

전국 산촌 지명 연구 = Study on the mountain villages nationwide place names 김주미, 민지애, 장주연, 유리화 p. 273-303

중국영화 속 ‘국가의 아이들’ 서사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of “children of the nation” in Chinese films : it focuses on the movie <My Mongolian Mother>, <In Search of Lost Time> about the inner Mongols : 몽고족 소재 영화 <나의 몽고 어머니>, <바다의 끝은 초원>을 중심으로 안창현 p. 305-329

한류 콘텐츠의 여성보편주의 = Female universalism in the context of Hallyu : a focus on drama and K-Pop : 드라마와 케이팝을 중심으로 장원호 p. 331-357

GOTY 게임에서 발견되는 서사 전략 연구 = A study on narrative strategy found in GOTY winners : focusing on the big winners at GOTY award during the last 10 years : 최근 10년간 최다 GOTY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최지운 p. 359-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