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에밀 졸라의 『루공-마카르 총서』 소설들 중에서도 1887년 작 『대지La Terre』는 「5인선언Manifeste des Cinq」으로 대표되는, 작품에 대한 논란으로 유명하다. 본 연구는 『대지』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현재 졸라 연구에서는 다소 소홀한 대접을 받는 작품의 당대 매체 수용과정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대지』가 최초로 소개된 1886년 5월 17일, 일간지에 소설이 연재되기 시작한 1887년 5월 29일, 「5인선언」이 나온 1887년 8월 18일, 이렇게 세 시기를 중심으로 작품과 작가를 둘러싼 프랑스 언론의 반응을 양적, 질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소설 『대지』의 매체적 존재감 형성 과정과 프레이밍 과정을 밝힘으로써, 「5인선언」을 둘러싼 『대지』의 ‘언론-문학 상호작용’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La Terre d’Émile Zola, sorti en 1887, marque la quinzième entrée dans la série Rougon-Macquart par une très forte polémique dont l’illustration la plus connue est un article intitulé le “Manifeste des Cinq”. Alors que celui-ci est représentatif de tout le processus de réception du roman – lequel contribua même à la construction de l’identité de La Terre –, de nos jours, l’étude zolienne ne s’intéresse malheureusement pas à ce processus. Celui-ci va être éclairci par notre étude qui mène une enquête aussi qualitative que quantitative s’intéressant à l’interrelation de trois moments charnières dans la réception de La Terre : le 17 mai 1886 (première annonce du roman à venir) ; le 29 mai 1887 (début de la livraison du roman en feuilleton d’un quotidien, Gil Blas) ; le 18 août 1887 (parution du “Manifeste des Cinq” dans le Figaro). Nous montrons dans cette étude comment les interactions journalistico-littéraires se construisent en général, en particulier le cadrage médiatique, pour que La Terre puisse prendre sa place dans le paysage médiatique français du XIXe siècle.*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