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적기능 초등학생 대상 집단실험 설계 연구의 동향과 방법론적 질을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국내 학술지 논문 12편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NTACT에서 발표한 집단실험설계 질적지표에 기초하여 연구방법론적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측면에서는 첫째, 주로 관련 연구들은 2017년 이후부터 시작되는 추세를 보였고, 둘째, 학습영역과 사회·정서영역에 대한 관심이 동일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대상선정에서 지능과 함께 고려된 요소들은 행동관찰지, 기초학습기능검사, 배제준거 등으로 나타났다. 질적지표 측면에서는 첫째, 엄격한 NTACT 원기준을 충족하여 높은 질 또는 수용가능한 질적 수준을 가진 연구는 없었고, 둘째, 충족률을 계산할 때 충족 및 부분충족에 해당하는 연구비율이 과반수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셋째, 전체 및 하위영역별 질적지표 충족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직 활발하지 않은 경계선 지적기능 영역의 후속연구들이 과학적 엄격성을 가지고 방법론적 타당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계선 지적기능 초등학생 대상 집단실험설계 연구의 동향과 방법론적 질 평가 = Trends and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ment in group experimental designs f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pplication of NTACT qualitative indicators : NTACT 질적지표의 적용 조은혜, 이현진, 홍성두 p. 1-30

코로나19 기간 장애학생의 교육격차에 관한 장애학생과 학부모, 특수교사 및 관리자의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A qualitative study into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school administrators regarding educational gap during the COVID-19 era 김나경, 임보령, 박지연, 박인선, 최미진 p. 31-63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특수교육 지원체계 비교연구 = Eligibility and assessment practice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 a comparison study of Korea and United States :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및 진단평가를 중심으로 박진석, 이영선, 박은혜 p. 64-87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서 긍정적 행동 지원 적용의 효과 = The impact of implement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a metaverse-based class on problematic behavior : target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류규태 p. 88-118

체제적 교수설계를 적용한 시각장애학생 체육지도전략 = Strategies for teaching physical education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pplying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 Dick and Carey model : Dick과 Carey의 모형을 중심으로 김동민 p. 119-146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 관련 통계 변화와 입학전형 현황 분석 = An analysis of statistical changes and current state admission processes for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special and general schools 박영제 p. 147-184

G시의 발달장애인 평생학습관에 대한 현장전문가들의 경험 및 요구 = Experiences and demands of field experts on lifelong learning center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 City 채수정, 김주영, 김희주, 강경숙 p. 185-214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에 대한 선별·진단과 지원 경험 = Experiences of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전은영, 정평강 p. 215-243

서울 및 경기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영아학급의 운영실태 및 지원 요구 =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and support request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 class for infant with disabilities in Seaul[실은 Seoul] and Gueonggi[실은 Gyeonggi] Province 조혜진, 김현숙 p. 244-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