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금융업은 영업점의 창구직원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는 대면채널 영업과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T)에 따른 비대면 거래 확산과 빅테크와 같은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으로 인해 비대면 채널을 활용한 영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금융업의 거래채널 확대에 따라 소비자가 대면 및 비대면 거래채널을 선택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나아가 거래채널별 맞춤형 상품 판매, 프로모션 등 은행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을 기반으로 한 A은행의 신용대출 상품을 가입한 고객이 거래 채널로서 대면 채널 또는 비대면 채널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 모형을 활용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 데이터의 총 개수는 28,221개이며 성별, 연령, 거주지역 등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신용등급, 연소득, 재직기간, 가입상품종류, 대출금액 등의 거래 특성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거래기간, 상품구분, 대출금액, 연소득, 거주지역, 신용등급, 성별, 연령, 재직기간의 9개 변수가 모두 고객의 거래 채널을 선택하는 데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연소득 및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그리고 남성일수록 비대면 채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은행의 주요 거래채널인 대면 채널(영업점)과 최근 가속화되는 비대면 채널 모두 동시에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각각의 채널을 전략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금융업은 대면 및 비대면 채널 선호 고객의 특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금융환경 변화에 맞는 효율적인 대면 및 비대면 마케팅 전략을 세워서 소비자에게 다가갈 필요가 있으며, 멀티채널 선택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은행업뿐만이 아니라 다채널을 운영하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PAD 요인이 중국 자율주행차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PAD factors on intention to use autonomous vehicles in China 형노선, 이용형 p. 1-17

대학생 소비자의 MBTI 유형과 소비자행동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MBTI type and consumer behavior : decision making process, SNS usage motivations, and lifestyle of university students : 구매행동 특성,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동기,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석관호, 이미라, 주소현, 차경욱, 추호정 p. 19-51

주류 굿즈 콜라보레이션 특성이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liquor goods and the company image brand royalty, impact on purchase intentions : focusing on the MZ generation : MZ세대를 중심으로 윤기환, 김수길, 현병환 p. 53-80

무슬림 여성소비자의 내재적·외재적 종교성이 한류참여와 한국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의 조절효과 =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igiosity, age, Korean wave participation, and intentions to purchase Korean cosmetics among Muslim female consumers in Indonesia and Malaysia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박인형, 정재은, 양희순, 정소원, 진병호 p. 81-105

소비자 특성에 따른 대면 및 비대면 거래채널 선택 요인 분석 = Direct versus indirect channel choice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 based on a regional bank case : 지역은행 사례를 중심으로 서성필, 서주환 p. 107-122

How resource scarcity by Covid-19 influences social isolation and hoarding behavior through negative mental states = 코로나로 인한 자원 희소성이 소비자의 부정적 심리 상태를 통해 사회적 고립과 사재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시간적 초점 성향의 조절 효과 : the moderating role of temporal orientation Kim, Do Yuon, Kim, Seeun p. 123-151

충동성과 탐닉기회의 상호작용이 탐닉소비에 미치는 영향 = The interactive effect of impulsivity and indulgence opportunity on consumers' indulgent consumption : the serial mediating role of goal conflict and negative affect : 목표갈등과 부정정서의 연속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지혜, 이유재 p. 153-170

임플로이언서 광고모델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impact of advertising model employencer on brand attitude : focusing on authenticity, product involvement, and source credibility : 진정성, 제품관여도, 정보원신뢰성을 중심으로 장성욱, 오상도, 황유진, 이승윤 p. 171-189

SNS 포스팅을 통한 제품 애착 및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 Effects of social media posting on experiential aspects of material products and liking of them 조승현, 서정화 p. 191-203

Spillover effect of leadership ethics on CSR Initiatives = 리더십 윤리성이 CSR 활동과 기업평판에 미치는 파급효과 : 기업의 따뜻함, CSR 동기와 기업위선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roles of firm warmth, CSR motive attributions and corporate hypocrisy Kim, Kihyon, Hong, Sujeong p. 205-220

Explaining sales concentration in the NFT art market = NFT 미술 시장에서의 거래 집중도에 대한 연구 : 거래 가격, 활동성, 참여자 구성의 변화 : trading price, market activity, and changing user composition Kim, Wookyoung, Kwon, YoungOk, Jung, Dong-Il p. 221-242

(The) influence of anthropomorphism on consumer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Chatbots = 챗봇의 의인화가 소비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Jeon, Eunmi p. 243-254

Against the public or the critic? The impacts of counterculturalism on consumer preferences for popularity and critical acclaim appeals = 반문화주의가 대중성과 작품성 소구에 대한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 Hong, Sujeong, Kwon, Mijin p. 255-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