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모델 개발 : Schein의 과정 컨설팅을 중심으로 =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for school consultant : based on Schein's process consultation perspective / 배현주 1

국문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3

1. Schein의 과정 컨설팅 3

2.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5

Ⅲ. 연구방법 8

Ⅳ. 연구결과 10

1.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10

2.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모델 20

Ⅴ. 의의와 한계 24

참고문헌 27

ABSTRACT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생 요구조사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교과목 개발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ata literacy subjects based on student demand survey :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대중 p. 1-26

보기
대학생 디지털역량 분석 = An analysis on digital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장지현 p. 27-45

보기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모델 개발 =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for school consultant : based on Schein's process consultation perspective : Schein의 과정 컨설팅을 중심으로 배현주 p. 47-77

보기
경력컨설팅 역량모델 개발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consulting competency model 윤혜준, 최명원 p. 79-102

보기
EPP모델을 활용한 영업사원 역량 모델링 = A study of sales representative's competency analysis through EPP model : focusing on a domestic A security company : 국내 A 보안업체 중심으로 장하림, 이현정 p. 103-129

보기
일자리 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What makes employees satisfied? : exploring th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highschool graduates :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역량을 중심으로 문지영, 양채원 p. 131-154

보기
교수역량진단을 통한 교수자 특성 분석과 프로그램 지원 방안 = Analysis of professor characteristics and program support plan through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 focusing on F university : F대학을 중심으로 이경희, 김기홍, 김지연 p. 155-178

보기
청소년의 타인정서 인식역량이 학업성취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other's emotional perception competencies of teenager on academic helplessness mediated by academic achievement self-concept : based on influenced by parents' emotional perception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evaluation : 부모의 타인정서 인식역량과 자녀 학업성취 평가의 영향을 기반으로 허영주 p. 179-198

보기
한국 대학 핵심역량의 현황과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re competencies in Korean universities 김휘영, 황지원 p. 199-218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