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修身은 악을 물리치고 선을 북돋아 마음과 행실을 바르게 닦아 심신을 수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몸과 마음을 닦아 좋은 품성과 덕성을 함양하며 지식이나 도덕심을 높은 경지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정진을 해야 한다. 그래서 동양의 儒佛道에서는 통상적으로 도를 닦아 덕을 쌓고, 심신을 단련하여 심오한 정신을 함양하는 것을 중시했다. 이와 관련하여 일찍이 주자는 보통 사람의 감정은 오직 향하는 대로만 따라갈 뿐 깊이 살피려고 하지 않는데, 이렇게 되면 반드시 한쪽으로 치우쳐 올바로 수신할 수 없게 된다고 하였다. 여기서 자기가 편애하는 바는 곧 家의 단위로 ‘가’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자신의 사적인 인간관계에 기초한 소소한 편애와 증오심을 극복할 수 있는 올바른 처신과 수양이 필요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느리지만 이해력과 사고력을 중시하는 동양 사상의 수신은 현대의 물질문명 우선주의로 더욱 깊어진 어둠을 헤치고 올바른 길[正道]을 찾는 방법을 가르쳐 줄 것이다. 나아가 수신은 어떻게 하여 어둠을 헤치고 正道로 나아가는지? 또 어떠한 방법으로 수립되는지를 알아가는 열쇠이자 강한 것을 이겨내고 자존감을 높이는 잣대(barometer)가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자신을 올바르고 굳건하게 세울 수 있는 수신이야말로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어렵고 모순된 시대를 살아가는 현실 속에서 가장 든든한 정신적 버팀목이 될 것이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退溪先生言行錄」의 내용 분석 = A study on the Record of Lee Toe-Gye’s Sayings and Deeds | 조남욱 | p. 5-37 |
|
|
퇴계 이황을 통해 본 사단의 純善無惡 고찰 = About the pure good and no evil of four sprouts seen through Toegye Yi Hwang | 성지은 | p. 39-70 |
|
|
박세당의 인물성동이론 해석 고찰 = A study on Park Se-dang's Inmulsungdongi theory and criticism of interpretation of Zhuxi | 안유경 | p. 71-99 |
|
|
雲谷 李羲發의 생애와 月俸牒 고찰 = A study on Wolbongcheop by Ungok Lee Hui-bal | 김순미 | p. 101-131 |
|
|
동양사상에 함의된 修身의 의미와 실천방안 = Meaning and action plan of reception in Oriental thought | 성해준 | p. 133-164 |
|
|
『三國史記』, 『三國遺事』에 나타나는 고대 여성의 권력과 형상화 양상 = The power of ancient women and imagery in the 『Samkuksagi』, 『Samkukyusa』 | 전지원 | p. 165-204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