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구술성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고, 이 변화에 따라 의사소통의 주요 관점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알아보고, AI 시대 새로운 구술성과 의사소통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시대 변화의 변곡점을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보고, 문자 발명 이전 말 중심의 시대를 ‘근원적 구술성’, 문자와 인쇄 문화 중심 시대의 구술성을 ‘문자화된 구술성’, 전자 매체에 의해 말이 기술화된 시대를 ‘기술화된 구술성’, 오늘날 디지털로 네트워크화된 시대를 ‘상호연결된 구술성’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시대에 따른 구술성의 변화로 인한 의사소통의 주요 관점을 각각 ‘인간 중심 의사소통관’, ‘기능 중심 의사소통관’, ‘정보 중심 의사소통관’, ‘상호작용 중심 의사소통관’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대에 따른 의사소통의 변화에서 말, 문자, 전자 장치, 디지털과 같은 매체 발달은 구술성의 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AI 시대는 기계와 의사소통이라는 측면에서 구술성의 개념화가 필요하고, AI와 의사소통에서 도덕성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직면하게 될 것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위기 사회에 대처하는 국어교육의 접근 =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oping with a crisis society 천경록 p. 399-428

지속가능한 문학교육의 방향 연구 =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literature education : based on memories of Sabuk : 사북의 기억을 중심으로 정래필 p. 319-349

비판적 언어 연구와 국어교육 = Critical study of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 issues and prospects : 쟁점과 전망 김규훈 p. 55-88

시조 감상 교육에서 학습자의 감각 체험 양상 연구 = A study on learners' sensory experience patterns in Sijo appreciation education : <오우가>를 중심으로 이루리 p. 179-22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언어 교육 = Language education for sustainable living : toward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을 위하여 최소영 p. 429-468

김윤식의 문학교육론 = Kim Yun-sik's literature education theory 우신영 p. 149-177

구술성 변화에 따른 의사소통의 관점 탐색 = Exploring perspectives on communic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orality 박창균, 조재윤 p. 89-118

고부담 읽기 평가의 DIF(차별문항기능) 분석 = Analysis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n high-stakes reading assessments : does background knowledge based on selec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majors influence reading assessment results? : 계열 선택에 따른 배경지식이 읽기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오규설 p. 119-148

이미지 중심의 뉴미디어 공간에서 시 쓰기 교육의 방향 모색 = Exploring directions for poetry writing education in image-centric new media spaces : focusing on creative poetry posted on Instagram sub-accounts : 인스타그램 부계정에 게시된 창작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홍 p. 259-317

화법 교육의 면담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 Review of interview education content and systematic content composition 이선영 p. 225-258

원어민 교사와 비원어민 교사의 한국어(KSL) 수업의 어려움 연구 = Study on native and non-native teachers' difficulties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lasses 강성가, 김여진, 김호정 p. 1-54

‘지식의 깊이’ 관점에서의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고전시가 학습활동 분석 연구 =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focusing on classical poetry from the depth of knowledge perspective 정은선, 김범진 p. 351-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