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정책을 Jenks, Lee, & Kanpol의 다문화주의 유형을 근거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2년까지 교육부가 발표한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의 추진과제 사업 유형과 대상을 분석하고, Jenks, Lee, & Kanpol(2001)의 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의 주요 접근 방식으로 제시된 세 가지 유형(보수적 접근, 개방적 접근, 비판적 접근)을 기반으로 각 정부의 추진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전체적으로는 보수적으로 접근한 추진과제가 가장 많으나(54.95%) 정부별로 점차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추진과제는 줄어들고, 개방적(38.54%), 비판적으로 접근(6.51%)하는 추진과제는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을 대상으로 추진된 사업은 모든 정부가 대부분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었다(53.9%~61.5%). 셋째, 학생을 대상으로 추진된 사업은 다문화학생의 공교육 진입, 학교 적응, 한국어 교육, 학습지원의 비중이 컸고, 일반학생까지 포함한 사업에는 다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추진과제가 가장 많았다.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향후 우리나라 다문화교육 정책의 방향은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비중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 정책에서 학생대상 사업은 개방적 다문화주의 접근과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정책과제가 동시에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학생을 위한 공교육 진입 및 학교적응을 위한 사업 외에도 정서적 지원 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우리나라 범교과 주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examination of cross-curricular in Korea : on the perspective of civic education :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이림 p. 5-23

다문화교육 정책의 다문화주의 유형 분석(2006-2022) = Analysis of types of multiculturalism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2006-2022) 김가영, 박나경, 정수현, 정제영 p. 25-45

서독과 남한의 통일교육지침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in West Germany and South Korea 김상무 p. 47-74

사회계층과 관련된 진로발달 연구동향 분석 = A systemic review on career development research focusing on social class : keyword network analysis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화, 김하나 p. 75-96

생애 전환기 중년학습자의 평생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lifelong learning experiences of mid-life learners in life transitions 이윤진 p. 97-122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사회적 약자 인식 유형 분류 및 유형별 입시에서의 사회적 약자 우대정책 태도 연구 = Classifying adolescents' perceptions of social disadvantage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and analyzing their attitudes towards affirmative action in college admissions by type 김다혁 p. 123-149

미래 핵심역량으로서 소통역량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s a future core competency 김미호 p. 151-177

국내 직무역량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n job competencies in Korea : based on keyword network and topic modeling analysis : 키워드 네트워크 및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김세현, 심화영 p. 179-201

자기주도학습역량의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 A study on the changes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 application of a longitudinal item response theory model : 종단 문항반응이론 모형의 적용 박찬호, 김선미, 이수빈 p. 203-222

비사범계 교직 이수생들의 반성적 성찰을 통한 학교현장실습 의미탐색 = A qualitative study on search for the meaning of teaching practicum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reflective reflection 이경희, 권양이 p. 223-252

Elementary English teacher graduate students' learning and reflection in asynchronous online sociolinguistics = 초등영어 교사 대학원생들의 비동기 온라인 사회언어학 학습과 성찰 Park, Seon-Ho p. 253-283

고위험군 위기개입 경험에 대한 대학내 유관기관 상담자들의 인식 탐색 = Exploring college counselors' perceptions of their experiences with high-risk crisis intervention : a focus on university A : A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혜은 p. 285-306

한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성에 미치는 비교과 활동에 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level of global citizenship using latent transition model : 잠재전이분석 변유경, 박혜숙 p. 307-328

국내 대학생용 긍정심리자본 척도 개발 = Development of a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탁하연 p. 329-351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 고찰 = Review of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support methods for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 focusing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유민희 p. 351-371

대학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상징적 동조 현상에 대한 연구 = Symbolic conformity in the process of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universities :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confrontation of the professors : 교수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김다은, 장덕호 p. 373-399

온라인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esence on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for online learning community program participants' in colleges 유지혜, 배을규, 박상오 p. 401-424

대학 신입생 대상 수학기초학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basic mathematics skills program for college freshmen : focusing on the case of "university K"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아름, 오미자 p. 425-444

고등학생의 노동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labor rights aware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직업계고를 중심으로 윤노아, 정이화 p. 447-470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sense of commun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박수희, 허인화, 하아영, 조한익 p. 469-490

초등학교 프로젝트 수업의 과정중심평가 구현 양상 분석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project-based learning 박찬솔, 임유나 p. 491-516

초등학생의 유튜브 이용 동기가 유튜브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zing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to use YouTube on YouTube overdependence 유지승, 최진영, 김민정 p. 519-538

유아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평가도구 타당화 = Validation of digital content evaluation tool for young children 조운주, 최일선 p. 539-559

현장관찰 요소가 포함된 유아세계시민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urse with field observation components 김고은 p. 561-592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인식한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국가정체성 간의 종단적 관계 =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national identity as perceived by multicultural youth : application of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적용 고은선, 권효진, 김광주 p. 593-612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결혼이주여성 문화적응 유형과 자녀의 개인 심리적·대인 관계적 특성 차이 = Latent profile analysis of acculturation types in migrant women and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김서정, 노은희, 이승은, 오인수 p. 613-640

지역사회 기반 사회적협동조합의 교육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to educational programs of community-based social cooperative : focusing on the case of social cooperative type in the school of dreams : 사회적협동조합형 꿈의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영, 김인재, 장희선 p. 639-668

베트남 북부 학습자들의 한국어 종성 비음 지각 습득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cquisition patterns of perception of final nasal consonants in northern Vietnamese learners 이선미, 조남현 p. 669-686

비대면 AI 스포츠코칭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re technologies for the development of a non-face-to-face AI sports coaching system 김민규, 박수정 p. 687-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