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정책을 Jenks, Lee, & Kanpol의 다문화주의 유형을 근거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2년까지 교육부가 발표한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의 추진과제 사업 유형과 대상을 분석하고, Jenks, Lee, & Kanpol(2001)의 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의 주요 접근 방식으로 제시된 세 가지 유형(보수적 접근, 개방적 접근, 비판적 접근)을 기반으로 각 정부의 추진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전체적으로는 보수적으로 접근한 추진과제가 가장 많으나(54.95%) 정부별로 점차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추진과제는 줄어들고, 개방적(38.54%), 비판적으로 접근(6.51%)하는 추진과제는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을 대상으로 추진된 사업은 모든 정부가 대부분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었다(53.9%~61.5%). 셋째, 학생을 대상으로 추진된 사업은 다문화학생의 공교육 진입, 학교 적응, 한국어 교육, 학습지원의 비중이 컸고, 일반학생까지 포함한 사업에는 다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추진과제가 가장 많았다.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향후 우리나라 다문화교육 정책의 방향은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비중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 정책에서 학생대상 사업은 개방적 다문화주의 접근과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정책과제가 동시에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학생을 위한 공교육 진입 및 학교적응을 위한 사업 외에도 정서적 지원 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