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은 18세기에 박이화가 지은 가사 〈만고가〉 이본의 양상을 밝히고 아울러 기존에 소개되지 않았던 함부르크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연구소 도서관 소장 〈만고가〉의 이본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만고가〉의 이본은 정익섭본, 위문가첩본, 단국대본이 전해지고 있었는데 여기에 이번에 소개하는 함부르크대본까지 총 네 종이 있게 되었다.
네 종의 이본은 구성 면에서 같은 점보다는 다른 점이 더 많다. 정익섭본은 완본이기는 하나 다른 본에는 있는 구가 21구(또는 22구) 누락되었으며 위문가첩본은 구의 출입이 잦은 데다 결본이라는 문제가 있다. 단국대본은 누락된 구가 네 종의 이본 가운데 가장 적고 완본이라는 면에서 선본(善本)의 가치가 충분하다. 함부르크대본은 결본이기는 하나 끝나는 부분까지에 한해서 본다면 단국대본과 함께 선본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구성을 기준으로 볼 때 네 이본은 친연성이 별로 없고, 특히 완본인 정익섭본과 단국대본의 친연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어휘 면에서 보면 네 종의 이본은 같은 어절보다는 서로 다른 어절이 압도적으로 많아 같은 계열에 속한다고 말하기 어렵다. 정확도 면에서 정익섭본이 오류가 가장 많고 단국대본이 정확한 구절이 가장 많아 두 완본의 차이가 크다. 어휘 면에서도 정익섭본보다는 단국대본이 선본(善本)임을 확인했다.
함부르크대본은 정확도 면에서 부족한 면이 많고, 결본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저본으로 삼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현전하는 부분에 한해서 보면 여느 이본에 못지않은 구성적 완성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면은 함부르크대본의 가치를 일정 부분 입증하는 부분이고 이것이 함부르크대본의 이본적 위상이라 하겠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