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종래 충분히 검토된 적이 없었던 몇 가지 논점으로 범위를 좁혀, 역법 전래 및 수용을 둘러싼 한일 관계의 제상을 살펴보고, 한일 교류가 전개되는 가운데 어떠한 방식으로 역법 지식이 유통되었는지 그 실태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유취삼대격(類聚三代格)』 조간(貞観) 3년(861) 6월 16일 태정관부(太政官符)를 분석하여 고대 일본에서 역법이 행용된 궤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오기력(五紀曆)의 이입 경위에 대한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종래에는 오기력이 일본의 견당사 하구리노 다스쿠(羽栗翼)에 의해 도입된 것이라는 조간 3년 태정관부의 기재 내용을 그대로 신빙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호키 연간의 신라 사신 내항 사유와 관련지어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해야 함을 밝혔다. 나아가 신라 부사(副使) 김암(金巌)이 오기력경의 일본 이입에 있어 크게 기여했거나, 오히려 진짜 주역이었을지 모른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발해 사신에 의한 선명력경의 전래는 단지 지식 정보의 ‘중개’ 또는 ‘전달’이 아니라 발해 사회 내부에서 정착・소화된 천문 역법 문화가 바탕이 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는 점을 논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려 초기 전주 연구 = Understanding Jeonju in the early Goryeo Dynasty 허인욱 p. 1-29

고려 예종대 監務의 설치와 여진정벌 = The installation of Gammu(監務) and the war against the Jurchens during the Goryeo Yejong era 최동녕 p. 31-72

조선 전기 京官職 職事 分掌과 掌務 운용 = The duty assignment of capital officials and the operational utilization of Jangmu(掌務)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이지훈 p. 73-113

20세기 초 南京 한인교회와 한인사회 = The Korean church and Korean community in Nanj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 focusing on "The Christian Messenger" : 基督申報를 중심으로 윤은자 p. 157-195

한국전쟁 역사 자료에서 지식 그래프와 온톨로지를 구축하기 위한 지식 추출 및 표현 기법 = Knowledge extraction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for building knowledge graphs and ontologies from Korean War history data 박지연, 김홍중 p. 197-221

17세기 후반 조선의 禁蔘 정책과 대일 인삼 무역 = The prohibition of ginseng exports by Joseon Dynasty in the late 17th century 이해진 p. 115-155

고대 일본의 역법(曆法) 수용 루트 = Importation route of ancient Japanese calendar : 오기력(五紀曆)과 선명력(宣明曆)을 중심으로 정순일 p. 223-248

전근대 시기 中國의 龍涎香 인식과 소비 =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ambergris in China in the pre-modern period 이완석 p. 249-291

20세기 초 상해 공공조계의 보산현 확장 문제 = Diplomacy around 1908 Paoshan extension of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 1908년 확장 교섭을 중심으로 김승래 p. 293-326

클레오파트라의 ‘로마 방문’에 관한 역사적 고찰 = A historical survey of Cleopatra's visits to Rome 김경현 p. 327-357

고・중세 예루살렘의 ‘등배형’ 문명교류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back to back' of civilization exchanges of Jerusalem in the ancient and middle ages 김정하, 강지훈 p. 359-390

1778년 조셉 나이트 재판과 스코틀랜드 반노예제 운동 = The Joseph Knight case of 1778 and the Scottish antislavery movement 윤영휘 p. 391-429

윌리엄 스테드(W.T. Stead)의 논평을 통해 본 20세기 전환기 세계의 미국화 = The Americanization of the world in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seen through William T. Stead's commentary 이민경 p. 431-464

제2차 세계대전 전 일본 기업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출 = The Japanese enterprise's penetration into French Indochina before WWⅡ : a case study of Compagnie Indochinoise de Commerce et d'Industrie : 인도차이나산업회사를 중심으로 정재현 p. 465-498

2차 대전기 전시 동원으로 인한 젠더의 재구성과 문화적 봉쇄 = The reconstruction of gender for war mobilization and cultural containments during World War Ⅱ :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workers and soldiers in Life and Esquire : 『라이프』와 『에스콰이어』 속의 여성 노동자와 군인의 묘사를 중심으로 김정욱 p. 499-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