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에서는 교양 교과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외국인 학부생의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전 학습용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설계 절차 및 실례를 제시하였다. 융복합적 사고력은 지식이나 정보의 내용적인 측면과 그것을 담고 있는 형태나 도구의 경계를 허물고, 거시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이다. 이는 외국인 학부생이 언어 학습자가 아닌 대학의 주요 구성원이자 세계 시민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본고에서는 플립드 러닝의 사전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외국인 학부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 원리를 수립한 후 7단계의 절차를 거쳐 콘텐츠를 완성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후 설문 조사를 통해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학부생들은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내용과 형식 면에서 적절하며, 주체적인 자가 학습을 돕는 유용한 도구이자 매개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콘텐츠를 통해 주제를 다층적으로 이해하며, 이를 문제해결과정에 활용하며 사고의 확장을 꾀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외국인 학부생의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국 여성독자와 『구운몽』 = British woman readers and Kuunmong. 1, The Cloud Dream of the Nine(1922) and woman's voice in polygamy. 1, The Cloud Dream of the Nine(1922)과 일부다처제 속 여성의 자기목소리 이상현 p. 5-36

탈냉전기 미군에 대한 기억과 자유주의의 한 지향 = Memories of the US military and a shift in liberalism in the post-Cold War era : focusing on Bok Geo-il's Camp Seneca(1994) and The Unforgotten War(2014) : 복거일의 『캠프 세네카의 기지촌』과 The Unforgotten War를 중심으로 김남혁 p. 37-72

재미동포 한국어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merican learners :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 학부모와의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한하림 p. 643-674
음성인식 텍스트 변환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의 자기 평가 타당도 검증 = The validation of self-assessment validity in Korean speaking classes using speech-to-text conversation programs 이선영, 이보라 p. 615-642

외국인 학부생의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전 학습용 온라인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 = A case of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learning content for the improvement in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convergent thinking ability 류선숙, 임형옥, 허유경 p. 583-613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교육의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metaverse 장미정, 박진욱, 노정은, 안정호, 손혜진 p. 551-582

교수-대학생 간 대화에서 해라체 ‘-다 의’ 사용 = The use of '-ta' style in task-based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김명희 p. 523-549

한국어 문법 지식의 개인화 연구 = Personalization of Korean grammar knowledge : focusing on intermediate Korean grammar practice : 중급 한국어 문법 연습 문제를 중심으로 손다정 p. 467-496

성별, 연령 및 담화 상황에 따른 시간 벌기 담화표지 ‘어’와 ‘음’의 사용 차이 = Time-gaining discourse markers 'uh' and 'um' by difference of gender, age and discourse situation 송인성 p. 443-466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겹받침 발음 연구 = A study on Japa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syllable final consonant cluster 하호빈, 이화진 p. 411-441

『영언류초(永言類抄)』의 편찬 특징과 가집사적 맥락 =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of Yeongeonryucho and its context in the history of Gajip 강경호 p. 73-103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을 통해 본 귀족적 영웅서사에 대한 지향 = A study of aristocracy-oriented heroic narrative in the Korean drama series The Youngest Son of the Chaebol Family : comparison with Hwanmong-soseol : 환몽소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해인 p. 105-134

洪聖民 詩에 나타난 眞情의 追求 = The pursuit of genuine feelings in Hong Seong-Min's poems :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wadam School : 花潭學派의 특성과 관련하여 유호진 p. 135-167

『恩遊日記』에 드러난 申象岳의 科擧 체험 = The experience of a Shin Sang-ak's tak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revealed in 'EunYoo-diary(恩遊日記)' 이서희 p. 169-197

<춘향전> 영역본 연구 = English versions of Ch'unhyangchŏn (春香傳) : figuration of Ch'unhyang and translation strategies : 춘향의 형상화 방식과 번역 전략을 중심으로 이창희 p. 199-229

유철의 『남성일록(南城日錄)』 = Yoo Chul's 『Namseong Diary (南城日錄)』 : a royal archivist's diary of Manchu War, which remains only in Japanese translation : 일본어 번역본으로만 남은 사관의 병자호란 일기 남혜경 p. 231-260

厚齋 金榦의 筆記 散文 創作 = A study on the Biji(筆記) prose written by Hujae Kim Gan : 『隨錄』에 나타난 김간의 思惟 김광년 p. 261-286

大山 李象靖 서찰의 편집 목적과 書節要類에 담긴 학맥의 嫡傳 의식 = A study on purpose of Daesan Yi Sangjung compilation and pupilship for academic steam found in Seojeoryoryu(summary of letters) : focusing on Daesansunsaengseojeoryo(大山先生書節要) : 『大山先生書節要』를 중심으로 김기엽 p. 287-318

「타인의 방」, 「내 여자의 열매」의 소설 공간과 ‘변신’ 모티프 = Spatial background and 'transformation' motif of Stranger's Room and My Woman's Fruit 최성윤 p. 319-338

1970년대 ‘국민학생관람가’ 영화에 나타난 ‘아동의 죽음’에 대한 연구 = Representations of 'the deaths of children' in films ra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1970s : focusing on films based on the true stories of Lee Seung-bok and Jung Jae-soo : 이승복, 정재수 실화 영화를 중심으로 박유희 p. 339-377

문화공보부의 출범과 문화냉전의 내전(內戰)화 =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Inform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ultural Cold War into the cultural civil war in Korea : focused on the literary magazine Wolganmunhak before the first five-year literary and cultural development plans : 제1차 문예중흥 5개년 계획 이전 《월간문학》의 민족문화론과 국위선양론을 중심으로 최진석 p. 379-410

전남·경남 접경 지역의 용언 어간 말 자음군 단순화 현상 = A study on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of dialects in the border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하영우 p. 497-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