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세종 시대의 역사유산 『치평요람』(1445)의 본질적 성격을 새롭게 조망해 보려는 시도에서 나왔다. 한글의 창제 및 반포의 시점과 거의 같은 시기에 편찬된 이 문헌은 중국 통사와 국사의 방대한 기록으로부터 ‘치평’의 요지를 추출한 정치 귀감서이다.

그동안 『치평요람』 연구의 가장 큰 쟁점은 편자의 의도적인 ‘紀年’ 생략의 이유와 목적에 있었다. 연호와 간지가 생략된 기록의 형식은 전통적인 사서의 체재에서 벗어나 있는데, 이는 역사적 인물의 언행 및 사건 발생의 시점보다 세종의 ‘현재’에 정치적 감계가 될 수 있는 ‘내용’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치평요람』에 수록된 기사의 내용이 주로 인물의 언행과 군신 간의 議政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도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세종과 집현전의 집필진은 유교 정치의 역사적 實例를 통해 역대 치란·흥망의 결정적 계기를 압축적으로 정리해 내고자 했다.

본고는 『치평요람』의 「箋文」에 등장하는 두 가지 단서를 근거로 기년 생략의 직접적인 원인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남송 趙善璙가 저술한 언행록 『自警編』과 胡安國이 말한 ‘史外傳心’의 요전인 『춘추』가 『치평요람』의 기년 생략과 문헌의 성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상세하게 분석했다. 또한 세종이 언급한 ‘經體史用’의 개념과 원칙이 『치평요람』의 기사와 사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경학과 사학의 관계를 통해 조망해 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역사철학 = Philosophy of histor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최성철 p. [1-2], 7-39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현황과 과제 =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and assignment of utilizing Korean history digital materials 김희만 p. [1-2], 41-70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역사적 시간성에 관한 세 테제 = Three theses of historical temporality in the posthumanist era : multiplicity, presentism, and subjectivity : 복합성과 현재성, 그리고 주관성 송충기 p. [1-2], 71-100

인류세와 역사학의 미래 = The anthropocene and the future of history : the implications of Dipesh Chakrabarty's theoretical work : 디페시 차크라바르티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용우 p. [1-2], 101-129

樂浪郡 호구 목독의 사료적 성격과 郡의 주민구성 = Wooden tablet of the household register from Lelang commandery's characteristic as a historical source and the commandery's composition of residents 이종록 p. [1-2], 131-179

『治平要覽』: ‘史外傳心’의 要典 =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 : the essential text over the historical record that transmits the Confucius's mind : 연구의 쟁점과 문제를 중심으로 홍승태 p. [1-2], 181-220

임진왜란 참전 명 장수 기념비 건립의 지역적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a general of the Ming Dynasty monument buil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公州 明國三將碑를 중심으로 최명진 p. [1-2], 221-259

朴世采의 『東儒師友錄』 사본과 구성에 대한 검토 = A review on Park Se-chae's manuscripts of 《Dongyoo saurok》 and its composition 진오균 p. [1-2], 261-348

『해동역사』의 비어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defense perception and response in 『HadongYuksa』 박인호 p. [1-2], 349-389

조선-대한제국기 정표제도의 변화와 소멸 = Changes and extinction of the Jeongpyo system in the Joseon-Korean Empire 고순영 p. [1-2], 391-423

식민지 관료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의 평남·평양 인식과 도정(道政) 입안(1910~1923) = Colonial bureaucrat Shinoda Jisaku's perceptions and policymaking in South Pyongan Province and Pyongyang (1910-1923) 주동빈 p. [1-2], 425-464

진보당의 특선조직과 비밀당원 = Progressive Party select and secret members and members 박진영 p. [1-2], 465-492

파시즘 시대 이탈리아의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와 1차 세계 대전 서술 = The presentation of the Great War in the primary school textbooks in fascist Italy 문준영 p. [1-2], 49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