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생 문제 음주 집단을 혼술 및 사회 음주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초기 부적응 도식, 대처 양식, 우울 및 사회불안 등 문제 음주와 연관된 심리적 요인을 비교하였다. 대학생 330명에게 한국판 알코올 장애 간이 선별검사(AUDIT-K), 도식 질문지 단축형, 문제중심 대처 양식 척도, 음주 동기 척도,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및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를 실시하였고, AUDIT-K 점수와 음주 습관 질문 결과를 바탕으로 혼술 집단 24명, 사회 음주 집단 140명, 병행 음주 집단 30명, 비위험 음주 집단 121명을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 혼술 집단은 사회 음주 집단에 비해 단절과 거절 및 타인 지향성 도식 영역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대처 양식 중 억제형 대처 및 반동형 대처가 더 높았다. 또한, 혼술 집단은 대처 동기와 평소 경험하는 우울 및 사회불안의 정도도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혼술 및 사회 음주 집단이 문제 음주의 취약성 요인으로 알려진 초기 부적응 도식 및 대처 양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평소 경험하는 심리적 부적응에서도 상이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혼술 집단이 사회 음주 집단에 비해 초기 부적응 도식, 대처 양식, 우울 및 사회불안에서 더 부적응적인 특성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알코올 사용장애의 위험 요인이자 재발 요인으로 알려진 혼술과 연관된 심리적 요인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혼술 및 사회 음주 집단의 심리적 특성 =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litary and social drinkers 전혜린, 이훈진, 전혜진 p. 1-15

MMPI-A와 비교를 통해 살펴본 MMPI-A-RF의 국내 활용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 = Clinical utility of the MMPI-A-RF in comparison with the MMPI-A : focused on adolescents diagnosed with internalizing disorders in Korea : 내재화 장애로 진단된 청소년을 중심으로 양윤정, 박은희, 홍현주 p. 17-35

대학생의 충동성과 도박 심각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gambling severity of university students : mediation effect of decision-making ability moderated by feeling of relative deprivation : 상대적 박탈감으로 조절된 의사결정 능력의 매개효과 신민철, 하창현 p. 37-63

경계선 성격특성과 타인에 대한 공격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toward others : sequential mediation of shame-proneness and trait anger : 수치심 경향성과 특성분노의 순차매개효과 이슬기, 장혜인 p. 65-87

정서 방임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신체 신뢰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body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emotion dysregulation 최경아, 황현정, 이혜진 p. 89-108

부모의 과보호와 초기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 및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The effect of parents' overprotection on social anxiety in early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self-esteem 엄은미, 신경민 p. 109-126

중고령 성인의 자기통제력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elf-control on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 노수림, 최원일, 김주현 p. 127-156

마음챙김 명상이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수용, 삶의 질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stress, acceptance,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김상대, 김정호, 김미리혜 p. 157-178

Can music combined with heartbeat sounds help people sleep better? = 심장박동 소리가 결합된 숙면 유도 음악 앱의 수면개선 효과 : 중장년기 성인 대상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middle-aged adults Seo Jin Oh, Min-Sup Shin p. 179-197

사회적 통증 척도(Social Pain Questionnaire)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pain questionnaire 고소희, 안성희 p. 199-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