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nhancing design of public spaces for regional cities through universal design = 유니버설 디자인을 활용한 공공디자인 연구 : 경주시 공공디자인 개선사례 : case study of public design improvement in Gyeongju City, South Korea Lee, Jiyoon, Lee, Jinho p. 1-10
LLM 기반 AI 서비스 사용자 경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LLM-based AI service user experience : focusing on ChatGPT and Clova X : ChatGPT와 Clova X를 중심으로 이서후, 김승인 p. 11-22
한글 글꼴 유사도 판별력 향상을 위한 서체 굵기 측정 기준 제안 = Proposal of typeface weight criteria to improve Hangeul font similarity assessment 박지은, 안병학 p. 23-32

산학협동을 통한 반려동물 용품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anion animal supplies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Cat Tower" by Kittenbox Co., Ltd. : (주)키튼박스社의 “캣타워” 제품을 중심으로 황정행 p. 33-42
재창조형 중국 ‘녠(年獸)’ 신화 그림책의 시각 서사의 기능과 의미 = The function and meaning of visual narratives in the re-created Nian myth picturebook 리우샤오양, 이지현 p. 43-54
해외 OTT의 장면 전환 자막 규칙에 따른 한국어 자막의 시각적 주의 분석 = Visual attention analysis of Korean subtitles according to the shot change subtitling rules of global OTT platforms 장서우, 김지윤 p. 55-64
(A) study on the design and research of kindergarten service robot = 어린이집 서비스 로봇 설계 및 연구 Liu, ChuYi, Hong, Kyung Min p. 65-76
체감 인터렉션 기반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디자인의 사용자 경험 연구 = Research on user experience of smart home control system design based on sensory interaction : centered around Google Home : Google Home 사례를 중심으로 총봉, 이해만 p. 77-86
문화콘텐츠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 출판콘텐츠 디자인 개발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contents desig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민재윤 p. 87-102
대학도서관 공간디자인을 위한 이용자 선호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r preference type for space design of university library 유보현 p. 103-111
철도 앱 서비스 품질이 기술 수용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railway mobile app service quality on technology acceptance and repurchase intention 박상아, 김영택, 이은백 p. 113-124
PBL모형을 적용한 메타버스 광고홍보콘텐츠 제작 연구 = A study on the PBL model applied to metavers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남고은 p. 125-136
전통적 요소를 적용한 캔 막걸리 패키지디자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n Makgeolli package design with traditional elements 김가인, 신상윤 p. 137-147
디자인 졸업 작품전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 project class using a design graduation work exhibition 임병우 p. 149-158
시각적 주의에 기반한 메타포 포스터의 실증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metaphor posters based on visual attention : focusing on the Mexico International Poster Biennale : 멕시코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를 중심으로 한문박 p. 159-171
(A) study on the case practice of applied design talents training under the background of crossover integration = 크로스오버 융합 배경에서 응용형 디자인 인재 양성 사례 연구 Yang, Haojie, Hong, Kyung Min p. 173-184
집속초음파를 적용한 듀얼(HIFU/RF)방식 휴대용 자가 시술 피부미용기기 디자인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portable self-treatment skin care device using dual (HIFU/RF) type concentrated ultrasound 노준필, 유승환 p. 185-197
중국의 여성 고령자를 위한 개인 휴대용 쇼핑카트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personal portable shopping cart for the elderly female in China 동열, 장경풍 p. 199-212
공공분야 미술 플랫폼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role and function of public sector art platform : focused on ‘Art Gyeong-Gi’, Gyeong-Gi Foundations for Art and Culture : 경기문화재단 ‘아트경기’ 사례를 중심으로 유지원, 김선영 p. 213-225
(A) study on the dialogue influence of interactive animation design on children's cognitive embodiment =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디자인에서의 대화가 아동 인지 체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Wang Yangzi, Ko, Jeong Hoon p. 227-237
메종 에르메스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아티스트 콜라보레이션 연구 = A study on artist collaboration on Masion Hermès window display 이현서, 김미현 p. 239-250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각디자인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 연구 =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visual design platform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ed on Alibaba Cloud's startup platform :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 계열의 창업 플랫폼을 중심으로 하혁총, 이해만 p. 251-260
Kano 모델 기반의 스마트 패키지 디자인 만족도 연구 = Smart package design satisfaction study based on Kano model 홍우정 p. 261-271

중년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피부관리인식 및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s appearance interest on skin care perception and skin care behavior 저우민, 송태임 p. 273-284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 정책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plans for public institutions to promote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오승호 p. 285-295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과서 편집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extbook editing design for effective learning : focusing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초등학교 4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장창식 p. 297-306
2030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빔 프로젝터 디자인 발굴 = Exploration of beam projector design based on the lifestyle of the 2030s : focusing on a mobile-centric lifestyle : 이동형 사용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김지훈, 남원석 p. 307-316
이벤트 아이덴티티로서의 대학 기념 엠블럼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ommemorative emblems as event identity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30th anniversary emblem of Namseoul University : 남서울대학교 30주년 엠블럼 개발을 중심으로 이미정, 유은진 p. 317-328
은기 제품 디자인에 나타난 금속공예 표현 특성 분석 연구 = Analysis and research on metal proces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silver product design : centered around the works of Chinese arts and crafts masters : 중국 공예미술 대가 작품을 중심으로 묘욱, 이해만 p. 329-338
(A) study on application of multimedia interactive technology in stage design = 멀티미디어 인터랙티브 기술의 무대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Lu Jianliang, Ko, Jeong Hoon p. 339-351
출판업계의 활성을 위한 체험마케팅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tial marketing to revitalize the publishing industry : focused on pop-up stores : 팝업스토어를 중심으로 이지수 p. 353-362
라이프 스타일 데이터 분석을 통한 스마트도시 브랜드 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smart city brand design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lifestyle data analysis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 smart city brand for Yongin City : 용인시 스마트도시 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김태형 p. 363-373
지각된 틱톡 챌린지 광고가치가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perceived Tiktok challenge advertising value on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김상진 p. 375-389
TV공익광고 문화 커뮤니케이션 효과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TV public advertising culture communication : analysis of Korea and China by gender : 한국과 중국의 성별에 따른 실증분석 조우리, 정해원 p. 391-400
태블로를 활용한 아이트래킹 원시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개발 프로세스 = Development process for raw data visualization dashboard of eye tracking using Tableau 장서우, 김승인 p. 401-410
패션전공 전문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pt 한경희 p. 41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