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김활성처리제와 부가장치인 공기방울처리장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양식현장에서 잎파래 제거와 부착 이물질 세척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김활성처리제만 처리하였을 때보다 물리적 처리방법인 공기방울처리장치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잎파래 제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김 양식망의 이물질 세척 효과는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공기방울처리장치를 혼합 사용한다면 김활성처리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친환경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김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논에 서식하는 수서곤충 및 복족류 군집의 특성 및 계절적 변동 = Seasonal changes in community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aquatic insects and gastropods in rice fields 어진우, 전상민, 최순군, 엽소진, 안난희 p. 335-344

다유전자 분석을 통한 한국산 녹조류 Desmodesmus속의 계통 = Phylogeny of Desmodesmus (Scenedesmaceae, Chlorophyceae) in Korea based on multigene data analysis 유영채, 이남주, 전가영, 이옥민, 양은찬 p. 345-363

Two newly recorded sea stars of genus Henricia(Asteroidea: Spinulosida: Echinasteridae) from the East Sea, Korea Michael Dadole Ubagan, Sook Shin p. 364-369

유해 남세균 유래 마이크로시스틴의 위해성과 제거 방안 고찰 = Review on hazardous microcystins originating from harmful cyanobacteria and corresponding eliminating methods 김석, 최윤이 p. 370-385

기수산 물벼룩에서 수온과 polystyrene beads의 복합 독성 = Combined toxic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polystyrene beads in the brackish water flea 이윤하, 박종석, 박채린, 조상현, 유제원, 이영미 p. 386-399

과정기반 모형을 활용한 산림의 순일차생산성 평가 = Assessing forest net primary productivity based on a process-based model : focusing on pine and oak forest stands in South and North Korea : 남북한 소나무 및 참나무 임분을 중심으로 송철호, 최현아, 손지원, 고영진, Stephan A. Pietsch, 이우균 p. 400-412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종분포모형의 국내 연구 동향 파악 = Trends identificati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study in Korea using text-mining technique 김동주, 권용성, 한나연, 이도훈 p. 413-426

미역 (Undaria pinnatifida) 배우체의 생존 및 상대성장률을 이용한 dichlofluanid의 독성영향 평가 = Assessment of the toxic effects of dichlofluanid using survival and relative growth rate on brown alga Undaria pinnatifida 황운기, 박윤호, 심보람, 이주욱 p. 427-438

제주도 황근 (Hibiscus hamabo) 잎의 기체 교환과 자생지에서의 토양호흡 = Leaf gas exchange of Hibiscus hamabo and soil respiration in its habitats on Jeju Island 최유진, 김광중, 이정민, 김형섭, 손요환 p. 439-446

편백림 임분밀도 조절에 따른 유기물층의 산불 연료량 변화 = Changes in forest fire fuel amount in a Chamaecyparis obtusa forest according to stand density control 이두희, 이정관, 신한두, 이슬기, 박우진, 김현준 p. 447-454

동계 휴경기간 살선충제 처리에 따른 오이 시설재배지의 고구마뿌리혹선충 방제 효과 = Control efficacy of two nematicides against southern root-knot nematode in a cucumber greenhouse during the fallow period in winter 고형래, 박세근, 네이트산 카르시, 박병용 p. 455-462

논 담수 여부에 따른 유기농업자재의 먹노린재 방제 효과 = Controlling effec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materials on the black rice bug, Scotinophara lurida(Hemiptera: Pentatomidae), depending on paddy flooding 이유경, 최낙중, 임주락, 최준열, 서보윤 p. 463-472

실외 여름철 온난화 및 가뭄 처리가 소나무 묘목의 이상생장 반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open-field summer warming and drought on the abnormal shoot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조희재, 박지은, 김진서, 김광중, 김가은, 김형섭, 손요환 p. 473-481

에머지 접근법을 이용한 국내 벼농사 시스템의 지속가능성 변화 분석 = Analysis of sustainability changes in the Korean rice cropping system using an emergy approach 김용은, 이민영, 홍진솔, 이윤식, 위준, 송재준, 조기종 p. 482-496

Description of Philodromus paiki sp. nov. and Philodromus spinitarsis Simon, 1895 (Araneae: Philodromidae) from Korea Chang Moon Jang, Sue Yeon Lee, Jung Sun Yoo, Seung Tae Kim p. 497-504

MaxEnt를 활용한 개미바구미 (Cylas formicarius)의 잠재 분포와 기후변화 영향 모의 = Estima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 of sweet potato weevil (Cylas formicarius) and climate change impact using MaxEnt 홍진솔, 홍희원, 피수민, 이수현, 신재하, 김용은, 조기종 p. 505-518

2021~2022년 충북지역 과수원의 주요 해충 3종 발생 현황 = Occurrence status of three major insect pests in orchards in Chungbuk province from 2021 to 2022 이성균, 박원기, 윤송, 안종현, 연은솔, 전종옥, 김주형 p. 519-529

강원지역 유기 및 관행 과수원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특성 비교 = Comparison of soil arthropod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orchards in Gangwon province 위준, 이용호, 홍선희, 조기종, 오영주, 나채선, 박광래 p. 530-538

Amelioration of non-irrigated stress and improvement of sweet pumpkin fruit quality by Kushneria konosiri endophytic bacteria Sang Tae Kim, Mee Kyung Sang p. 539-549

Two newly recorded species of genus Henricia(Asteroidea: Spinulosida: Echinasteridae) from the East Sea, Korea Michael Dadole Ubagan, Jinho Lee, Taekjun Lee p. 550-556

한국산 도롱뇽 3종 거제도롱뇽, 숨은의령도롱뇽, 꼬마도롱뇽의 성별, 시기 그리고 서식지에 따른 크기 다양성 연구 = Study on size diversity according to the sex, period, and habitat of three new Korean Hynobius salamanders : Hynobius geojeensis, H. perplicatus, and H. unisacculus 정유정, 장이권, 구교성 p. 557-569

Six species of Tricoma (Nematoda, Desmoscolecida, Desmoscolecidae) from the East Sea, Korea, with a bibliographic catalog and geographic information Hyo Jin Lee, Heegab Lee, Hyun Soo Rho p. 570-607

Morphology and molecular phylogeny of harmful dinoflagellate Pseudocochlodinium profundisulcus from Korean coastal area Joo Yeon Youn, Kyong Ha Han, Kyeong Yoon Kwak, Hyeon Ho Shin p. 608-615

Parapinnanema imbricatum Belogurov, Belogurova and Smolyanko, 1985 (Nematoda: Chromadoridae) from Ulleungdo Island, the East Sea, Korea Woo In Jung, Won Gi Min, Hyun Soo Rho p. 616-626

14종 살충제의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살충제 약제반응 조사 = Insecticidal response of 14 insecticides against Korean Bemisia tabaci local populations 정인홍, 김이선, 김소희, 이종혁, 윤경재, 이시혁 p. 627-636

어구조사 및 환경 DNA 메타바코딩을 이용한 태화강, 창원천 하구 생태계의 어류 군집 구조 및 종 다양성 평가 = Investigation of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two river estuary ecosystems, the Taehwa River and Changwon Stream, based on conventional survey and eDNA metabarcoding 최희규, 김유림, 황순영, 추연수, 김평범, 이혁제 p. 637-656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hippeastri from Korea Sungchan Huh, Namsook Park, Heonil Kang, Changhwan Bae, Insoo Choi p. 657-665

Two new records of Laurencia decussata and L. pacifica from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structures and molecular data Paola Romero-Orozco, Boo Yeon Won, Tae Oh Cho p. 666-676

Rhizopus arrhizus (syn. R. oryzae)에 의한 팥 갈색잎마름병 첫 보고 = First report of red bean brown leaf blight caused by Rhizopus arrhizus (syn. R. oryzae) 이성균, 연지은, 연은솔, 전종옥, 신현만, 김주형, 이상범 p. 677-682

한강하구 접경지역 습지 생태계 서비스 평가를 통한 생태적 관리 방안 분석 = Assessment of wetland ecosystem services for ecological management in the border area of the Han River estuary 최현아, 한동욱, 이우균, 송철호 p. 683-696

Light dependent arsenic uptake and growth in Lactuca sativa L. Hyun-Gi Min, Eunjee Kim, Min-Suk Kim, Jeong-Gyu Kim p. 697-705

김 양식망의 파래류 제거 및 세척 효과 증대를 위한 공기방울처리장치의 활용 = Utilization of air bubble device to improve removal Ulva linza and cleaning effects from Pyropia nets 이학증, 김영희, 남지연, 김찬송, 허진석 p. 706-711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 군집 다양성과 이들에 영향을 주는 지리적 위치 및 생태적 특징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butterfly community and geographic location and ecological traits inhabiting agroecosystems 이재영, 최세웅 p. 712-719

서해 곰소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 Characteristics of temporal-spatial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Gomso Bay in the Yellow Sea, South Korea 정영석, 서민호, 최서열, 추서휘, 김동영, 이성훈, 한경호, 서호영 p. 720-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