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문학 수용에서의 핵심적인 수행 과정이라 할 수 있는 ‘감상’이 어떻게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지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정의적 영역에서의 문학 수용에 해당하는 감상의 핵심은 내면화 과정에 있으며, 이때 내면화란 문학 작품을 독자 자신의 삶에 비추어 보아 자기 삶과의 연관성 속에서 수용하는 과정이다. 이는 해석학적 과제로서의 ‘적용’ 개념과 상통하는 것으로, 가다머는 작품 수용의 궁극적인 목적이 독자의 삶과 연결된 질문을 바탕으로 한 적용으로서의 이해에 있다고 보았다. 감상은 해석의 결과로서의 작품의 의미를 독자 자신의 상황에, 그리고 스스로 대답하기 원하는 물음에 적용하는 것을 뜻한다. 독자는 문학 작품을 자기 삶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기 이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감상의 본질에 부합한 교육 내용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 차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대시를 감상하게 하는 과제를 부과하였다. 과제는 학습 독자 스스로 자신의 개별적인 상황 및 처지와 연결되는 질문을 생성하게 하여 그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서술하게 하였다. 이러한 감상은 작품에 대한 밀도 있는 이해를 위한 해석의 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제출한 결과에서 독자들이 자기 질문 생성을 통한 감상의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자기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문학 감상 교육 내용의 구체화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문학 하위 영역과 역량의 연계성 연구 =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sub-areas and competency in Australia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김금내, 이은홍 p. 7-52

특성화고에서 국어 교사로 살아남기 = Surviving as a Korean teacher at a vocational high school : a study on the identity of Korean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based on survey cases : 설문 사례를 바탕으로 한 특성화고 국어 교사 정체성 연구 김혜진 p. 53-91

‘삶과 연계한 학습’으로서의 문학교육 연구 = A study on literature education as a learning linked to life 오윤주 p. 93-130

‘자기 성찰적 서사’의 정신분석을 위한 고찰 = A study on the psychoanalysis of “self-reflective narrative” 이인표 p. 131-165

‘자기 이야기’를 통한 예비교사의 존재론적 교육 = Ontological educ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through ‘self-story’ : analysis of critical essay on the movie Detachment as an assignment for educational trainees : 교육실습생 과제로서 영화 <디태치먼트> 비평문 분석 정원술 p. 167-201

문학교육 내용으로서의 감상에 대한 일고찰 = Research on educational content of literature appreciation : focusing on Gadamer’s ‘application’ : 가다머의 ‘적용’을 중심으로 정정순 p. 203-232

‘문학 향유’의 개념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concept of ‘literature enjoyment’ 최인찬 p. 233-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