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비교 분석하여 권장 활동 수준의 동향과 특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확인해 보면서 신체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중고강도 신체활동의 전반적인 필요성, 뼈와 근력 강화 활동의 중요성 강조, 신체활동 평가 및 모니터링 체계의 부족이라는 세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과 같은 두국가의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비교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 신체 활동의 지도 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의 본질적 가치를 더욱 심도있게 이해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al trends and recommended standards for physical activity levels through analyzing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d China. By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substantial impact of physical activity on health has been clarified, and it has been concluded that "highlighting the universal requirements for moderate to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and "emphasizing the criticality of bone and muscle strength activities" and "the lack of practical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and supervision mechanisms" are three significant features. The study believes that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not only clarify the guidance direc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ctivity behavior, but also provide strong support for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ubstantial value of physical activity in daily life.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powerful reference for the formulation of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영상 피드백 제공이 학교스포츠클럽 풋살 참여 중학생의 내적 동기와 패스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roviding video feedback through smartphone app on intrinsic motivation and passing accu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futsal activities 권혁수, 이현석 p. 1-14

대학생 필라테스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of college pilates participant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 심리적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연, 전선혜 p. 15-28

(A) comparative study of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아동과 청소년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비교 연구 : 한국과 중국 : South Korea and China You Li, Mingyuan Li, Chngying Chen, Dong-Wook Han p. 29-44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참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on career maturity 김하영, 이현석 p. 45-56

국민체육진흥법과 스포츠기본법의 비교 고찰을 통한 법률적·정책적 제언 =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and Framework Act on Sport in Korea : focusing on legal and policy proposals 윤상진 p. 57-78

숙련도와 거리에 따른 골프퍼팅 전 정신적 준비기 뇌활성화 비교 = Comparison of brain activation in the pre-golf putting mental preparator by proficiency and distance 고지현, 류광민 p. 93-103

근대 체육인 신국권(申國權)에 관한 주요 논쟁점 연구 = A study on the major issues of modern athlete Shin Guk-kwon 김병중, 조준호 p. 7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