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비교 분석하여 권장 활동 수준의 동향과 특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확인해 보면서 신체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중고강도 신체활동의 전반적인 필요성, 뼈와 근력 강화 활동의 중요성 강조, 신체활동 평가 및 모니터링 체계의 부족이라는 세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과 같은 두국가의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비교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 신체 활동의 지도 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의 본질적 가치를 더욱 심도있게 이해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al trends and recommended standards for physical activity levels through analyzing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d China. By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substantial impact of physical activity on health has been clarified, and it has been concluded that "highlighting the universal requirements for moderate to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and "emphasizing the criticality of bone and muscle strength activities" and "the lack of practical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and supervision mechanisms" are three significant features. The study believes that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not only clarify the guidance direc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ctivity behavior, but also provide strong support for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ubstantial value of physical activity in daily life.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powerful reference for the formulation of physical activity guideline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