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사회의 불공평한 정치 및 사회 요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비판적 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성, 인종, 계층의 세 영역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 선행연구와 국외에서 개발된 척도를 고찰하여 한국사회의 성, 인종, 계층의 세 영역의 비판적 의식을 측정하는 예비문항을 제작하고, 9인의 전문가 평정을 통해 68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68문항을 사용하여 205명의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 20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2에서는 초중고 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비판적 의식이라는 일반요인과 성, 인종, 계층의 3요인구조의 이중 요인 모형을 선택하고 20문항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의 공인타당도,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를 확인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비판적 의식 척도, 다문화태도 척도, 다문화교육역량척도, 계층차별주의, 성차별주의 척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의 학문적 의의와 활용방안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measuring teachers' critical consciousness, aimed at analyzing inequitabl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in Korean society. Specifically, the scale targets three domains: gender, race, and class.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reated, drawing upon previous research and international scales, and focusing on the domains of gender, race, and class. This proces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68-item questionnaire, refined through the input of nine experts and administered to 205 K-12 teach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three factors and 20 items. Study 2 involv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 different sample of 228 K-12 teachers, revealing a bifactor model. This model comprised a general factor of critical consciousness and a three-factor structure representing gender, race, and class. Further validation of the teachers'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was achieved by examining concurren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This was done through correlations with measures of critical consciousness,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classism, sexism, belief in a just world, and social desir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discussed implications, suggested uses for the scale,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