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청맥』의 소설에 관한 최초의 본격적인 연구이다. 소설은 모두 37편으로서, 50-60년대 사회에 만연한 (국가)폭력 및 사회비리, 부패에 대해 본격적으로 해부·고발한다. (국가)폭력에 대한 ‘질적 변환’ 및 ‘양적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당시 아시아·아프리카 리저널리즘의 한계로 지적되던 ‘민주와 괴리된 독재’ ‘새로운 민족주의로서의 독재’를 비판하면서 제3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50-60년대 극우반공체제의 확립과정과 국가폭력 형성의 호몰로지를 보여주면서 민족적 리얼리즘의 성취를 확인시키고 있었으며, 문학비평과의 정합성도 확인되었다. 특히 국가폭력에 저항하는 새로운 시(국)민성이 ‘여성성’을 통해 담보되는 특징을 보이지만, 아직 ‘새 사회 원리’ ‘노동’ 등은 남성성에 기반하는 등 착종된 젠더의식을 드러냈다.

자유·평등이 보장되는 민주주의 사회, 국가폭력이 아닌 법치, 인류애라는 조국애, 물화가 아닌 자본주의 등이 『청맥』의 소설이 피력하는 바, 아시아 리저널리즘 제5계보의 소설적 형상화에서 요청된 전망의 내포이다. 이것이 제5계보의 차별성이자 특징이었다. 하지만 아직 민족주의의 폭력성을 용인하고 반공 냉전으로 육화된 ‘보복하는 여성’을 제시하는 등 진정한 탈식민적 성찰로는 한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청맥』의 소설로 인해 60년대 소설사는 다시 씌여져야 한다. 이미 『창작과 비평』의 업적으로 평가된 민족주의론, 리얼리즘론을 선취하고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증언과 상상 = Testimony and imagination : the mem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the art of postmemory : 일본군 ‘위안부’의 기억과 포스트기억 예술 김려실 p. 329-358

『청맥』의 소설에 나타난 리저널리즘과 (국가)폭력의 젠더 = Gender of regionalism and state violence on the short stories of Chong-Mag 김복순 p. 204-242

근대 ‘소녀’의 탄생과 ‘소녀성’의 창안 = The birth of the modern girl and the creation of the girlhood 김경연 p. 10-51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 = 1980s women's liberation literature-intersection of gender, ethnicity and class : 젠더, 민족, 민중의 교차 이선옥 p. 52-76

1980년대 한국 시의 이중구속 연구 = A study on the double bind of Korean poems in the 1980s : focusing on the early poems of Kim Hye-soon and Hwang Ji-woo : 김혜순과 황지우의 초기 시를 중심으로 장은정 p. 77-110

「계축일기」의 종결 연구 = A study on the conclusion of Gyechuk-Ilgi 김보현 p. 112-134

임순득(任淳得)과 서정주(徐廷柱)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Im Soon-deuk's relationship with Seo Jeong-ju : focusing on Im Soon-deuk's novel "Moonlight Talk" and Seo Jung-ju's poem "A Postcard to Dong-ri" : 임순득의 소설 「달밤의 대화(月夜の語り)」와 서정주의 시 「엽서-동리에게」를 중심으로 이상경 p. 135-168

선전물로서의 번역, 전쟁터로서의 여성 = Translation as propaganda, women as battlefield : focusing on translation of heroine narrative published on the propaganda magazine New Korea : 북한 대외홍보지 『새조선(新朝鮮)』에 게재된 여성영웅서사의 번역을 중심으로 등천 p. 169-203

전혜린의 일기에 나타난 ‘모성’이라는 문제 = The issue of 'motherhood' in Jeon Hye-rin's diary 이행미 p. 243-267

고정희 시의 수평적 저항성 연구 = A study on the horizontal resistance of Goh Jeong Hee's poetry 장서란 p. 268-296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 = The 'Americanization' devices of th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exts 이지은 p. 297-328

한국 걸그룹 노래에 나타나는 페미니즘 전략 분석 = An analysis of feminism strategies in Korean girl group songs : focusing on cases of struggles against digital sex crimes : 디지털 성범죄 대항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원 p. 359-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