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김동리의 일제 말기 넘어서기 = Overcom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by Kim Dong-ri 방민호 p. 233-260
비-역사적 존재들의 재현과 민중 해방 리얼리티의 완성 = The replication of entities devoid of historical foundations and the complete realization of the liberation of the people : focusing on A The White Jeogori by Cho Se-hee : 조세희의 『하얀 저고리』를 중심으로 안리경 p. 261-294
불멸, 영웅, 하얼빈 = Immortality, hero, Harbin : three images of An Jung-geun on the 100th anniversary : 의거 100주년 안중근의 세 가지 형상 황재문 p. 295-323
이주와 생성의 영속성과 길 위의 집 = The continuity of migration and the house on the road : a study on Korean-Chinese writer Geum Hee’s novels : 조선족 작가 금희 소설 연구 구재진 p. 325-349
이기영의 관동대진재 체험, 그 직후의 현실 인식과 초기 문학 = Lee Ki-young's experience of the Great Kantō Earthquake, perception of reality and early works 정윤성 p. 55-84
이광수의 『마의태자(麻衣太子)』에 나타난 지도자상 고찰 = A study of the leader's image in Lee Kwang-soo's The Crown Prince of May(『마의태자』) 정하늬 p. 169-206
허영숙의 수필과 ‘의사 허영숙’의 재인식 = Heo Young-sook's essays and a new understanding of 'Doctor Heo Young-sook' : doctor, nation, woman : 의사, 민족, 여성 황정현 p. 207-232
관동대진재를 둘러싼 신원증명의 언어정치와 민족/젠더를 가로지르는 신체 = The linguistic politics of identification of the Great Kantō Earthquake and the bodies across the boundary of nation/gender : examining Lee Yang-ji’s “Nabi-Taryong”, “Kazukime”, and “Joseki-tōhon” : 이양지의 「나비타령」, 「해녀(かずきめ)」, 「제적등본(除籍謄本)」에 대하여 조은애 p. 129-166
이광수 문학과 관동대진재 = Yi, Gwang-soo’s literature and the Great Kanto Disaster speaking as an alibi and symptoms of ethnical hostility : 부재증명의 말하기와 민족적 적대의 징후들 유승환 p. 11-54
해방 이후 한국문학과 관동대진재의 기억 = Memories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the Korean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period 김지윤 p. 85-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