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 상담전략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로 첫째,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 상담을 통하여 어떠한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는가? 둘째, 에니어그램 활용한 영상관법의 어떤 요소가 분노 감소에 영향을 미쳤는가?

연구 방법은 단일 사례연구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34세 여성으로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서 분노를 호소했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 상담전략을 적용하여 2023년 1월~4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 실시하였다. 또한 에니어그램의 성격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성격유형 검사를 사전,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특징적인 면은 9번 유형이 사전검사 13점에서 사후검사 3점으로 낮아져 자기표현을 잘하고 있으며, 연구 참여자 스스로 자기의 성격유형을 이해하면서 본질과 성장방향으로 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영상관법 상담전략의 개입은 어린 시절 미해결 된 촉발사건을 영상으로 떠올려 알아차리고 거기에 머물러 지켜보면서 부정적인 감정을 긍정적인 변화를 통하여 심리적, 신체적으로 안정을 갖게 되어 심리치유가 이루어졌다. 분노감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노검사 사전 76점, 사후 25점으로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법화경』에 나타난 혁신사상 고찰 = A study of the innovative thought mentioned in the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차차석, 홍미경 p. 11-36

『법화경』의 여성관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women's view of the Saddharmapundarikasutra 이석환 p. 37-59

‘피토육서(彼土六瑞)’로 보는 『법화경』의 개혁 성향 고찰 = An examination of the reformative tendency expressed in the 'PitoYukso(彼土六瑞)' of the Lotus Sutra 신용산 p. 61-93

『능엄경』과 『법화경』의 관음사상 비교 = A comparison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oughts of Shurangama Sutra (The Sutra of the Heroic One) and the Sutra of the Lotus 임병정, 조소현 p. 95-124

조선 초기 법화사상과 불교의례 = The Lotus Sutra thought and Buddhist ritua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김인묵, 심일종 p. 125-151

관음(觀音)의 눈에 대한 심리치유적 이해 = A psychological healing understanding of the eyes of avalokitesvara 김선화 p. 153-179

대행선사의 오공의식에 대한 상담심리학적 이해 = Understanding the counseling psychology of Daehaeng Zen Master's consciousness about five fundamental essence 이광숙 p. 181-212

묘음보살의 음악치료적 이해 = The music therapeutic understanding of gadgadasvara 피자영 p. 213-237

관음에 대한 체원(體元)의 이해 = Chewon's understanding of avalokitesvara : with a focus on his Baekhwadoryangbalwonmun Yakhae :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중심으로 김현정 p. 239-270

중국 사찰 채화(彩畫) 연구 = A study on architectural decorative color painting of Chinese Buddhist temples : comparison with Joseon Dynasty Buddhist temples : 조선시대 사찰 단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란수, 이수예 p. 273-310

만해 한용운 선시(禪詩)에서 자유와 희망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healing meditation of Seon poetry in Manhae : let's focus on free hope and healing meditation to overcome hardships : 만해 선시의 고난 극복 자유, 희망을 중심으로 오철우 p. 311-332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에 나타난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 = The BeopJeong monastery anti-Japanese uprising of 1918 in the document of "The Adjudication on Jung Kuyong by the Retrial Court in Taegu" 정진희 p. 333-371

불교철학에 근거한 중국열반사상 고찰 = An examination of Chinese nirvana ideology based on Buddhist philosophy 홍권표 p. 373-394

성인 여성을 위한 예방적 선불교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a preventive Seon Buddhism-centered meditation program for adult women : focus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자비를 중심으로 염중섭, 손강숙, 정소미, 문진건 p. 395-421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 The consultation strategy using enneagram is to reduce anger effectiveness : a single case study : 단일사례연구 김문자 p. 423-442

中國佛教文化在珠寶首飾中的應用研究 = 중국불교문화에 응용된 보석 장식 연구 張棟 p. 443-459

論韓中天臺宗佛教的雙向交流影響作用 = 한국과 중국 천태종의 쌍방 교류의 영향 고찰 葉文香 p. 461-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