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성인 학습자의 금융이해력 발달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f an adult learner’s financial literacy development experience 이동성 p. 1-23
초등학생들의 그림자교육/사교육(shadow education)에서 나타나는 학습 불평등 = Learning inequality in South Korean elementary students’ shadow education : a qualitative case study : 질적 사례연구 김영천 p. 25-62
생물학적 아버지가 아닌 실존적 아버지로 살아가는 비혼부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exploration of the identity of unmarried father who lives as an existential father rather than his biological father : the story of a father who raises a child who is not his own blood : 자신의 핏줄이 아닌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의 이야기 강라현 p. 63-93
임상실습의 대체교내실습 후 졸업한 간호사의 임상 적응 경험 = Clinical adaptation experience of nurses who graduated after an alternative on-campus practicum for clinical practice : application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근거이론방법 적용 김영주, 안성윤, 김정연 p. 95-118
초심자의 질적연구 입문 경험 = Beginners’ introductory experience in qualitative research : qualitative research as a way of life, from ‘doing’ to ‘becoming’ : 삶의 방식으로서의 질적연구, ‘하기’에서 ‘되어가기’로 전영아 p. 119-146
한 여성 상담자의 노모와의 동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f a female counselor’s experience of living with her elderly mother 이태영, 김명찬 p. 147-172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이론을 활용한 2015 개정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IB PYP 교육과정 분석 =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lowe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and IB PYP curriculum using Posner’s curriculum analysis theory 류영규, 박한숙 p. 173-196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과학 교사와의 융합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into the integrated lessons of a technical high school’s ICT teacher with a science teacher 신은혜 p. 197-223
초등학교 초임 시간강사의 교사 정체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n teacher identity of novice elementary school substitute teacher 권보은, 유난숙 p. 225-253
교육혁신을 위한 하이플렉스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yflex classes for educational innovation : focused on analyzing the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 학습자의 학습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심미자 p. 255-278
미술치료사들의 메타버스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art therapists’ metaverse experiences : focusing on the metaverse platform ZEPETO :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경험을 중심으로 편지원, 김선희 p. 279-305
수학학습 포기 현상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 Study about phenomenon of giving up on learning math using grounded theory 이인수, 옥보명 p. 307-332
일반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진로·직업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high schools 박은수, 임경원 p. 333-362
청소년동반자의 위기청소년 옹호활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f youth companion’s experiences in advocacy for at-risk youth 장해영, 구자경 p. 363-385
대학에서의 경험·협력·탐구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경험 = A study on experience about experience, collaboration, and inquiry based curriculum in university 김희란, 권다남 p. 387-412
한 초등학교가 지역사회 연계 교육협력으로 폐교 위기를 극복하는 내러티브 = A narrative of an elementary school overcoming the crisis of school closure through community-linked educational cooperation 김필성, 정상원, 권다남 p. 413-442

20년 이상 경력 언어치료사의 삶에 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ife experience of over 20 years experienced speech pathologists 황지은, 김진훈, 이은주 p. 443-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