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노인돌봄서비스의 사회적 가치 측정 방안 : 사회적투자수익률 분석 사례 = A study on measuring the social value of eldercare / 고숙자 1
[요약] 1
[1] 들어가며 1
[2] 투자 효과 분석 모형 2
가. 사회적 투자 수익의 개념 3
나. 사회적 투자 수익 평가 방법의 특징 3
다. 분석 모형의 개념적 구조 5
라. 인구 모듈 5
마. 돌봄 수요 모듈 6
바. 돌봄 공급 모듈 7
[3]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투자 효과 7
[4] 노인돌봄서비스의 SROI 모형 9
[5] 나가며 10
참고문헌 11
[요약] 13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디지털 보건의료의 정책 과제 | 권순만 | p. 2-4 |
|
보기 |
공공형 디지털 건강관리서비스의 현재와 미래 개선 방향 = Public digit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in Korea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 김동진, 박나영 | p. 6-21 |
|
보기 |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사업의 효과 및 발전 방향 = AI-IoT-based health management services : their effect and improvement directions | 박나영 | p. 22-37 |
|
보기 |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시사점 = The subjective effect of non-face-to-face health management services and its implications | 최은진 | p. 38-50 |
|
보기 |
비대면 진료 국내 현황 및 국외 사례 = Policy issues of telemedicine in Korea : a comparison with Japan and France : 일본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 김대중 | p. 51-67 |
|
보기 |
노인돌봄서비스의 사회적 가치 측정 방안 = A study on measuring the social value of eldercare : 사회적투자수익률 분석 사례 | 고숙자 | p. 69-81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