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鼎湖本《夢遊集》版本考 = 정호본(鼎湖本) 《몽유집(夢遊集)》 판본고 / 昌娜 1

한글제요 1

目次 2

Ⅰ. 引言 2

Ⅱ. 棲壑藏本 2

Ⅲ. 五卷本 7

1. 《憨山老人夢遊集》, 天啓元年釋海印刻本(五卷詩歌本) 7

2. 《憨山老人夢遊集》, 崇禎二年左春魁刻本(五卷法語本) 8

Ⅳ. 二十(或二十二)卷本 9

1. 《憨山大肺夢遊全集》, 順治十七年濟航刻本 10

2. 《憨山大肺夢遊全集》, 順治十七年濟孫刻本(耿畿茂刻本) 10

3. 《憨山大肺夢遊全集》, 光結十九年刻本 13

4. 《夢遊全集》, 宣統二年(1910)重鐫本 13

5. 《夢遊全集》二十二卷 14

6. 《憨山大肺夢遊全集》, 約1945年李漢魂重印本 15

Ⅴ. 結語 15

參考文獻 16

內容提要 17

Abstract 17

刊記(imprint) 1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經律異相》所引《大智度論》與其原經異文類型及比較硏究 = 《경률이상(經律異相)》에 인용된 《대지도론(大智度論)》과 그 원 경전의 이문(異文) 유형 및 비교 연구 王亞平, 趙家棟 p. 1-22

보기
新見敦煌寫本S.8167號《維摩詰講經文》重校 = 새로 발견된 돈황사본 S.8167호 《유마힐강경문(維摩詰講經文)》 재교감 劉力舸 p. 23-31

보기
檢驗書《洗冤集錄》驗屍語篇的書寫模式 = 검험서(檢驗書)인 《세원집록(洗冤集錄)》에서 검시관련 어구의 텍스트 연구 高婉瑜 p. 33-51

보기
鼎湖本《夢遊集》版本考 = 정호본(鼎湖本) 《몽유집(夢遊集)》 판본고 昌娜 p. 53-69

보기
《素問》"去菀陳莝"再論 = 《소문(素問)》에 보이는 "거완진좌(去菀陳莝)"에 대한 재검토 陳玥霖, 王長林 p. 71-83

보기
《孔子家語》中的人性論 = 《공자가어(孔子家語)》중의 인성론 劉振維 p. 85-107

보기
民間三目神信仰演燮中的宗敎因素考略 = 삼목신(三目神) 신앙의 변천 과정에 보이는 종교적 요소 고찰 : 이랑신(二郞神)의 형상을 중심으로 : 以通俗文学中的二郞神形象爲例 趙暾 p. 109-120

보기
"晏温"與"曣㬈""氤氳"音近義同嗎 = "晏温(안온)"과 "曣㬈(연온)", "氤氳(인온)"은 독음이 가까운 동의사인가 胡佳瑋 p. 121-132

보기
《論語》在日本江戶時代的傳播與接受 = 일본 강호(江戶;에도)시대 《논어》의 수용 : 와세다(早稻田)대학 소장 초본 《논어사고(論語私考)》를 중심으로 : 以早稻田大學所藏抄本《論語私考》為研究中心 左朋 p. 133-152

보기
寫本形態下佛典女性故事之受容 = 돈황사본에서 불전(佛典)의 여성고사 수용 : 야수다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以耶輸陀羅為例 張麗麗 p. 153-17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