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하버드대 대학원 학생으로서 옥스퍼드대 트리니티칼리지에서 수학 중이었던 T. S. 엘리엇은 1915년 5월 22일부터 7월 10일간 마지막 학기를 보내면서, 요아킴 교수와 스미스 교수의 강의를 듣고 6-8개의 주별 과제를 제출했다. 과제문에서 엘리엇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공부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였다. 브루커와 샤커드가 편집한 『T. S. 엘리엇의 산문전집 1권』에서 4편의 관련 글이 수록되었다. 이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 관련된 3편의 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나타난 사유와 실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서 형상과 질료」,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원인설」을 중심으로 「불멸의 속삭임」에 나타난 엘리엇의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해와 적용을 살펴본 글이다.

T. S. Eliot, a graduate student at Harvard Univ. studying at Trinity College, Oxford Univ., spent his final semester from May 22 to July 10, 1915, to lectures by Joachim and Smith and submitting 6-8 weekly assignments. In the assignments, Eliot studied Aristotle’s Metaphysics and showed his understanding of Aristotle’s philosophy. Four articles related to The Complete Prose of T. S. Eliot Vol. 1. edited by Jewel Spears Brooker and Ronald Schuchard are included. These articles apply Eliot’s tasks of Aristotle’s philosophy as presented in “Thought and Reality in Aristotle’s Metaphysics,” “Matter and Form in Aristotle’s Metaphysics,” and “Causality in Aristotle’s Metaphysics” to Eliot’s “Whispers of Immotality” and Metaphysical Poets. This article examines Eliot’s understanding of the assignments submitted after taking a lecture on Aristotle in 1915 and the poem “Whispers of Immortality” written from that year to 1918 on Aristotle’s Metaphysics and Metaphysical Poe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드라이 샐베이지즈」에 나타난 환경인문학적 함의 = Environmental humanities’ implications in "Dry Salvages" 김대영 p. 1-26

소용돌이 속에서 만난 엘리엇과 포우 = Eliot and Poe encountered in the midst of vortex 김민선, 김요섭 p. 27-45

예이츠의 슬라이고와 엘리엇의 이스트 코우커 = Yeats’s Sligo and Eliot’s East Coker 김양순 p. 47-77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대한 엘리엇의 이해 = Eliot’s understanding of Aristotle’s Metaphysics 김영희 p. 79-96

엘리엇의 『네 사중주』 읽기 = Reading Eliot’s Four Quartets : in search of the time and salvation of "Burnt Norton" : 「번트 노턴」에 나타난 시간과 구원의 현장을 찾아서 이철희 p. 141-159

Body and soul = 노화의 재정의 :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와 「비잔티움 항해」 비교 연구 : redefining aging in T. S. Eliot’s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and W. B. Yeats’s “Sailing to Byzantium” Yunju Choi, Yoo Jin Choi p. 237-251

ELiot’s thoughts on the possibility of a poetic drama in ‘The Possibility of a Poetic Drama’ and other essays = 「시극의 가능성」과 기타 산문에 나타난 시극의 가능성에 대한 엘리엇의 생각 Suejean Joe p. 221-235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뮤지컬 『캣츠』 제작을 위한 T. S. 엘리엇 시의 각색연구 = Adapting T. S. Eliot’s poems for Andrew Lloyd Webber’s megamusical ‘Cats’ : patriarchy, gender and thatcherism : 가부장제, 젠더, 대처주의 정태진 p. 189-220

러셀, 베르그손, 그리고 이분법적 대립의 문제들 = Russell, Bergson, and problems of binary oppositions 이홍섭 p. 161-188

『네 사중주』에 표현된 시간과 불교의 찰나 생멸 = Time in Four Quartets and ‘instantaneous changes between birth and death’ in Buddhism 박성칠 p. 97-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