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현대시 ‘화자’에 관한 시학적 논의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현대시 화자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화자를 시인과 동일하게 이해하는 전통적인 관점은 시 텍스트의 심미성과 자율성 앞에서 폐기되었고, 시 텍스트에 드러나는 목소리들의 진원이자 실체로서 시인과 분리된 허구적 화자가 출현하게 되었다. 허구적 화자를 통해 상상적이고 탈주체적인 체험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다양한 독자들과 소통하고 정서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허구적 화자의 정립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오늘날 하나의 시 텍스트 내부에 다층적인 목소리를 가진 현대시가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단일한 목소리의 허구적 화자만으로는 해명하기 힘든 문제를 노출시켰다. 이는 시 텍스트 내부에 존재하는 분열되고 증식되는 목소리를 가진 화자의 탄생을 예비했다. 새로운 화자의 등장과 더불어 화자에 관한 이론도 함께 수정되고 있다. 시학의 구성 요소들은 규범적이라기보다는 기술적(記述的)일 때 비로소 ‘지금, 이곳’의 문학과 함께 갱신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자와 시점, 어조에 관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재점화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문학공간에서의 이러한 논의들이 교육공간으로 전이될 필요가 있다. 그간의 화자 교육은 화자 개념이 부재한 가운데 단일한 목소리를 가진 화자를 내세운 시 텍스트들을 주로 활용함으로써 문학과 독자의 동시대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시 텍스트의 온전한 수용과 생산을 위해서는 허구적 화자의 존재를 정립하고 단일한 주체적 목소리뿐 아니라 타자적 목소리들이 혼재한 ‘지금, 이곳’의 시 텍스트들을 상호텍스트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문학 경험이 문학 능력으로 온전히 전이되어 미래 성인 독자의 능동적인 문학 활동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독서 교육, 자기 주도성, 주관적 웰빙의 교차점 = The intersection of reading instruction, self-direc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 a national analysis using panel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 한국교육종단연구 패널 데이터를 통한 전국적 분석 곽수범 p. 1-27

학습 대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talk for learning' research 김승현 p. 29-68

생성 인공지능 활용 글쓰기에서 클러스터링을 적용한 학생 필자의 질문 유형 분석 = Analysis of question types by student writers using clustering in writing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이슬기 p. 69-105

대학 수학 능력 시험 문법 문항의 내용 타당도 점검 =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CSAT grammar items 이관희 p. 107-135

초등예비교사가 작성한 국어과 지도안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plan of Korean language written by pre-elementary teachers 이창근 p. 137-166

『물명유해』의 향약명 관련 어휘 고찰 = Examination of vocabulary related to the Hyangyak terminology in Mulmyeongyuhae : ‘지도부’를 대상으로 이은규 p. 167-196

여성영웅소설 <백학선전>에 나타난 남성인물 형상과 의미 = Figures and meanings of male characters in female hero novels Baekhakseonjeon 곽현희 p. 197-230

겸허함, 현대적 우울을 살아가기 위한 문학적 태도 = Modesty, the literary attitude to address contemporary melancholy : an essay on ethical reading to bridge author and reader : 작가와 독자를 잇는 윤리적 독서 시론(試論) 김동영 p. 231-262

시민성 교육을 위한 김승옥 소설 읽기 = Reading Kim Seung-ok's novels for citizenship education : 「역사」(1964)·「서울 1964년 겨울」(1965)을 중심으로 류동규 p. 263-289

현대시 화자 이해와 교육 방향 = Understanding the speaker in modern poetry and the direction for education 박성근 p. 291-321